본문내용
1. 패혈증(Sepsis)
1.1. 정의
패혈증은 감염에 대한 비정상적인 숙주 반응으로 인한 생명을 위협하는 장기 기능 장애를 의미한다. 즉, 패혈증은 미생물 감염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으로, 이로 인해 장기의 기능이 손상되는 심각한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으로 패혈증은 SOFA 점수(호흡기계/신경계/순환계/간/응고/신장)로 평가되며, 미생물 감염이 원인으로 확인될 경우 진단이 가능하다. 패혈증은 전신에서 발병할 수 있으며, 폐렴, 신우신염, 뇌막염, 봉와직염, 감염성 심내막염, 복막염, 욕창, 담낭염, 담도염 등의 감염증이 원인이 될 수 있다.
1.2. 원인
패혈증의 원인은 주로 감염에 의한 것이다. 원인이 되는 감염 부위는 신체의 모든 장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폐렴, 신우신염, 뇌막염, 봉와직염, 감염성 심내막염, 복막염, 욕창, 담낭염, 담도염 등이 패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감염증이 발생한 경우, 원인 미생물이 혈액 내로 침범하여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균이 체내에 들어오면 면역반응이 일어나면서 염증반응과 응고체계가 활성화된다. 이때 사이토카인이 분비되면서 염증반응은 연쇄적으로 활성화되어 일어난다. 균이나 내독소에 의해 염증반응이 활성화되면 식균세포와 백혈구가 염증이 있는 주변으로 모이게 되고 이에 따라 사이토카인의 분비는 더 활성화된다. 분비된 사이토카인에 의해 혈관이 확장되며,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호중구를 활성화 시키고, 혈관내피 세포의 손상을 유발하여 혈소판의 활성화와 함께 응고 작용을 일으키게 한다. 이렇게 되면서 염증반응이 있는 주변조직을 파괴하여 세포의 손상과 괴사를 유발하게 되면서 더 강력한 염증반응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 조직의 손상과 함께 장기부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1.3. 병태생리
패혈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균이 체내에 침입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염증반응과 응고체계가 활성화되며, 사이토카인이 분비되면서 염증반응이 연쇄적으로 활성화된다. 균이나 내독소에 의해 염증반응이 활성화되면 식균세포와 백혈구가 염증이 있는 주변으로 모이게 되고, 이에 따라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더 활성화된다. 분비된 사이토카인에 의해 혈관이 확장되며,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호중구를 활성화 시키고, 혈관내피 세포의 손상을 유발하여 혈소판의 활성화와 함께 응고 작용을 일으키게 한다. 이렇게 되면서 염증반응이 있는 주변조직을 파괴하여 세포의 손상과 괴사를 유발하게 되면서 더 강력한 염증반응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