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 단위 사정
1.1. 간호 단위의 구조와 간호 인력 파악
응급병동의 구조는 총 30병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응급병동의 간호 인력은 총 1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간호사 1명, 주임간호사 1명, 일반간호사 15명, 업무 보조 1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무별 인원은 주간 근무 4명(수간호사 1명, 일반간호사 3명), 저녁 근무 3명(일반간호사 3명), 야간 근무 3명(일반간호사 3명, 단, 금요일과 토요일은 2명)이다. 간호전달체계는 팀 간호 방법(team nursing method)을 사용하고 있으며, 팀 리더인 간호사의 지시 아래 팀원 간호사와 보조인력 등의 구성원들이 환자 중심의 간호를 수행하도록 계획된 방법이다.
1.2. 간호 단위 관리자의 1일 업무 분석
간호 단위 관리자의 1일 업무는 다음과 같다. 먼저 06:50 ~ 07:15 시간 동안 간호단위 환경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냉장고 온도 점검, 응급박스 및 비치약품 고위험약품 점검, 간호사실과 스테이션 점검, 요일별 필요한 물품을 청구하는 업무를 처리한다.
07:15 ~ 08:00 시간에는 전 야간 근무자와 인수인계를 진행하며 환자 상태를 파악한다. 이어서 08:00 ~ 10:00 시간에는 체류 지연 환자를 파악하고 병실 예약을 하며, 각종 검사 및 수술 환자의 준비 상태를 점검한다. 또한 병실을 순회하며 낙상 및 욕창 위험 환자의 관리를 수행한다. 보호자 및 간병인 관리 업무도 수행한다.
10:00 ~ 12:00 시간에는 퇴원 현황 및 퇴실 여부를 확인하고, 마약 항정 관리 대장을 점검한다. 배출된 적출물 및 세탁물 관리, 병동 지표 관리(낙상, 욕창) 업무를 수행한다.
12:00 ~ 14:00 시간에는 낙상 및 욕창 위험 환자 관리, 병실 청결관리와 감염관리, 문제 환자 파악 및 관리 업무를 진행한다.
14:00 ~ 15:30 시간에는 소독품 유효일 점검, 비치물품의 적정량 보유 여부 확인, 기구 소독관리 및 잉여 물품 관리, 사용하고 남은 약품 반납 확인과 대장 점검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24시간 보고서와 워크시트를 작성하여 evening 근무 간호사와 인수인계를 진행한다.
이처럼 간호단위 관리자는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며, 간호단위의 전반적인 운영과 관리를 책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간호 단위 환경관리 상황 개선점
간호 단위의 환경관리 상황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환기상태 개선을 위해 환기 시간을 병실 환자 및 보호자와 상의 후 결정하여 시간대에 맞는 환기를 실시하고, 매 근무 시 환풍 시설을 점검해야 한다. 신선한 공기를 유지하기 위한 환기는 환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건강을 증진시키므로 중요하다. 특히 감염의 기회가 증가할 수 있는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음상태 개선을 위해 면회 시간을 정하고 방문객의 출입을 최소화하며, 실습 학생들의 적정 수 배치가 필요하다. 소음은 환자의 안정 및 수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업무 능력까지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관리가 중요하다.
조명상태 개선을 위해 환자 처치 시 병실 조명을 확인하고 필요시 불을 켜주도록 하며, 창가 쪽 블라인드를 햇빛을 더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부적절한 조명은 환자 처치를 방해하고 눈의 피로와 불안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절이 필요하다.
온도와 습도 관리를 위해 각 병실마다 온도계와 습도계를 구비하고, 온도는 18~24℃, 습도는 40~60%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적절한 온도와 습도는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안녕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며, 의료기기 사용 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관리가 필요하다.
심미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백색의 벽지를 따뜻한 느낌의 상아색 또는 크림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색상은 정신생리학적 반응을 일으키고 심미적, 상징적 의미를 주므로 환자의 치유와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대상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환자 처치 시 침상 간격을 고려하여 커튼을 철저하게 치도록 하고, 컴퓨터 자리를 비울 시에는 항상 EMR 및 환자 정보 자료를 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환자의 진료와 관련된 정보 및 사생활 보호는 간호사의 기본적인 책임이므로 이를 준수해야 한다.
1.4. 간호 단위 물품관리 상황 개선점
간호 단위 물품관리 상황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간호단위의 물품은 소모품과 비품으로 구분된다. 소모품에는 주사기, IV set, Needle, Airway, Nasal oxygen catheter, O2 mask 등의 비처방성 진료재료와 IV cannula, Scalp Needle, Tegaderm, Extension tube, Elastic bandage, Foley catheter, Tracheal cannula, 3-way, Urine bag, L-tube 등의 처방성 진료재료가 포함된다. 비품에는 냉장고, TV, 전화기, Air conditioner 등의 일반비품과 혈압기, EKG Monitor, 체중계 등의 의료비품, 싱크대, 붙박이 옷장 등의 고정비품, 가구류, Wheel chair, IV stand pole, Cart류 등의 이동성 비품이 있다.
물품관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물품청구는 e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