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동구 지역사회

  • 1
  • 2
  • 3
  • 4
  • 5
  • 6
  • 7
  • 8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대전동구 지역사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 과정
1.1. 지역사회 사정
1.1.1. 지역사회 특성
1.1.2. 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
1.1.3. 지역사회 건강수준
1.1.4. 지역사회 환경적 특성
1.1.5. 지역사회 유용 가능한 자원
1.2. 지역사회 진단
1.2.1. 지역사회 간호 진단
1.2.2. 우선순위 설정
1.3. 지역사회 계획
1.3.1. 목표설정
1.3.2. 수행계획
1.3.3. 평가계획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 과정
1.1. 지역사회 사정
1.1.1. 지역사회 특성

동구는 대전광역시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옥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대덕구와 중구에 접해 있다. 남쪽으로는 충청남도 금산군, 북쪽으로는 충청북도 청원군과 옥천군의 북부와 접하고 있다. 1980년에 인공적으로 형성된 대청호가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만인산(해발 537m)과 식장산(해발 597m)이 동구의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대동천과 대전천이 동구의 주요 수계를 이루고 있다.

동구는 대전의 중요 지역으로 발전해왔으며, 특히 대전역을 중심으로 상업과 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1914년 대전군 대전면으로 시작해 1931년 대전읍, 1940년 대전부, 1949년 대전시로 행정구역이 변화해왔다. 1977년에는 동구와 중구로 나뉘었고, 1989년에는 동구가 대전직할시에서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현재 동구는 16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후적으로 동구는 내륙지방에 위치하여 대륙성 기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13.1℃로 온화한 편이지만, 여름은 고온다습하고 겨울은 저온건조하여 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연강수량의 70%가 여름철에 내리는 몬순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연중 남서풍이 주를 이루며, 겨울에는 북서풍도 불어온다.

동구의 주요 자연자원으로는 대청호와 식장산을 들 수 있다. 대청호는 1980년 인공적으로 형성된 호수로, 7월과 8월에 집중되는 강수량의 특징을 나타낸다. 식장산은 백제 때부터 중요한 교통의 요충지였으며, 군사적으로도 전략적 요충지였다. 동구 지역은 역사적으로 상업과 교통의 중심지로 기능해왔으며, 최근에는 신시가지 개발로 도심 기능이 점차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대전의 주요 교통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1.1.2. 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

대전광역시 동구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전광역시 동구의 총인구수는 2016년 234,959명에서 2020년 223,021명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전국 총인구수는 같은 기간 51,696,216명에서 51,829,023명으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대전광역시 전체의 인구도 1,514,370명에서 1,463,882명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동구의 인구 감소가 특히 두드러지고 있다.

성별 인구 구조를 보면, 대전광역시 동구의 남성 인구는 112,416명, 여성 인구는 110,605명으로 남성 인구가 약간 더 많다.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유사한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동구의 경우 60-64세 인구가 18,723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45-49세 인구가 가장 많았다. 동구의 0-14세 청소년 인구비율은 전국 평균에 비해 다소 낮은 편이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도 전국과 대전광역시에 비해 동구가 높은 편이다. 2020년 기준 동구의 65세 이상 인구는 42,533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9.1%를 차지한다. 대전광역시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4%, 전국 평균이 16.4%인 것과 비교하면 동구의 노령화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동구는 전반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젊은 층의 유출과 함께 60대 이상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노년 부양비도 높아지고 있다.


1.1.3. 지역사회 건강수준

대전광역시 동구의 건강수준을 살펴보면, 음주율, 흡연율, 비만율, 당뇨병 진단 경험률, 관절염 진단 경험률, 뇌졸중 유병률 등이 전국 및 대전광역시 평균에 비해 높은 편이다.

우선, 음주율의 경우 동구는 2019년 기준 62.0%로 대전광역시의 평균인 58.7%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국 평균 음주율과 비교해도 2.3%p 높은 수준이다. 음주율은 201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흡연율 또한 대전광역시의 타 자치구에 비해 동구가 가장 높은 편이다. 2018년 동구의 흡연율은 26.4%로 서구(25.8%), 대덕구(24.3%), 중구(20.3%), 유성구(16.8%) 등 다른 자치구에 비해 월등히 높다. 특히 60-69세 연령층의 흡연율이 47.5%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비만율의 경우 동구가 33.2%로 대전광역시 평균인 30.0%보다 높으며, 가장 낮은 유성구(27.3%)와도 5.9%p 차이가 있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14년 23...


참고 자료

대전광역시 동구 통계연보 (2017 ,2019) https://www.donggu.go.kr/dg/ko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r/
taas 교통사고분석시스템 http://taas.koroad.or.kr/
대전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 수돗물 생산과정 http://www.waterworks.daejeon.kr/kor/index.do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 하수처리장 http://www.djsiseol.or.kr/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19~2022년) http://www.donggu.go.kr/dg/kor/article/openyardNotice/91872
기상청 날씨누리 - 지역벌 기후 특성 https://www.weather.go.kr/w/index.do
대전시청, “비영리민간단체 현황 https://www.daejeon.go.kr
보건복지부 - 학교 흡연 예방사업 (2019)
대전 동구보건소 (금연사업)
87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
동구 통계 연보 2019 http://www.donggu.go.kr:1107/convert/change/change/1589638950118/index.html
2015.9.3. 대전지방기상청
대전동구청, https://www.donggu.go.kr/dg/kor
대전광역시 동구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서 2020~2024
통계청 https://kosis.kr/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대전광역시 ,https://www.daejeon.go.kr/index.do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main.do?cate=1
통계로 보는 충청지역 건강차트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86361_1&rs=/assist/synap/preview
2008-2019 지역건강통계 한눈에보기 제 2권 본문
질병관리청_지역건강조사 https://chs.cdc.go.kr/chs/stats/statsMain.do
통계청 만성질환 건강통계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pblcVis/details.do
우리나라에서 흡연율의 사회계층별 불평등과 변화추이 https://www.kihasa.re.kr/hswr/assets/pdf/500/journal-27-2-25.pdf
제 7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19-2022)
대전 보건환경 연구원-3대하천 https://www.daejeon.go.kr/hea/contentsHtmlView.do?menuSeq=93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