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전대병원 유방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9.08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화순전대병원 유방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내분비계 질환
1.1.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1.2. 내분비계 대상자 관련 기본 용어 및 약어
1.3. 내분비계 암환자의 주요문제 및 질환
1.4. 양성종양과 악성종양
1.5. 암의 등급과 TNM 병기 분류
1.6. 5대 암 검진프로그램
1.7. 화순전대병원 내분비외과

2. 자궁내막암
2.1. 정의 및 원인
2.2. 유형
2.3. 증상과 징후
2.4. 진단방법
2.5. 치료

3. 직장암
3.1. 정의 및 원인
3.2. 증상과 징후
3.3. 진단방법
3.4. 치료
3.5. 간호

4. 간호과정 적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내분비계 질환
1.1.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내분비계는 모든 신체계통과 연관되어 거의 모든 생리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전달체계이다. 해부학적으로 연결된 것이 아니고, 기능적으로 상호 연결된 샘의 혼합구조이다. 내분비계의 주요 기능단위는 뇌하수체,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생식샘(고환과 난소)이다.

내분비계기관들은 호르몬을 직접 혈류로 분비한다. 호르몬은 우리 몸의 내부로 분비되어 혈액을 타고 표적 기관으로 이동한다. 표적기관에 도착한 호르몬은 수용체와 결합하여 작용을 나타낸다.

뇌하수체는 뇌의 시상하부의 지배를 받아 우리 몸에 중요한 여러 가지 호르몬들을 분비한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호르몬들은 다른 내분비계 기관들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호르몬 분비를 자극한다.

갑상샘은 뇌하수체의 지배를 받아 갑상샘 호르몬과 칼시토닌을 만들고 분비한다. 갑상샘 호르몬은 체온 유지와 신체 대사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칼시토닌은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낮추어주는 역할을 한다.

부갑상샘은 부갑상샘 호르몬을 만들고 분비한다. 부갑상샘 호르몬은 뼈에 작용하여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고, 신장에 작용하여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하며 비타민 D의 합성을 도와준다. 결과적으로 부갑상샘 호르몬은 혈중 칼슘 농도를 증가시킨다.

부신피질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염류코르티코이드, 남성호르몬을 만들고 분비한다. 부신수질은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만들고 분비하는데 이는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췌장의 이자섬에서는 글루카곤과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을 만들고 분비하는데, 이 두 호르몬은 혈당 조절에 관여한다. 글루카곤은 혈당의 높이고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고환은 뇌하수체의 지배를 받아 남성호르몬을 만들고 분비하며, 남성호르몬은 남성 생식기의 발달과 이차성징의 발현에 관여한다. 난소는 뇌하수체의 지배를 받아 여성호르몬을 만들고 분비하는데 여성 호르몬은 여성 생식기의 발달과 유방 발달과 같은 이차성징의 발현에 관여한다.

이처럼 호르몬은 신체의 성장과 발달, 대사 및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2. 내분비계 대상자 관련 기본 용어 및 약어

내분비계 대상자 관련 기본 용어 및 약어는 내분비계 질환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와 약어로, 이를 이해하는 것이 내분비계 질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acromegaly는 말단비대증을 의미하며, 이는 성인에서 성장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Addison's disease는 애디슨병으로, 부신피질 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basal metabolic rate는 기초대사율을 의미하며, 이는 몸의 대사 활동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다. Basedow's goiter는 바세도 갑상선증을 말하며, 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한다. cretinism은 크레틴증으로, 선천적인 갑상선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Cusing's syndrome은 쿠싱 증후군으로, 과다한 glucocorticoid 생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Diabates insipidius는 요붕증을 의미하며, 이는 항이뇨호르몬의 결핍 또는 저항성으로 발생한다. Diabetic nepropathy는 당뇨병성 신증을 말한다. dipsesis는 갈증을 의미하며, 이는 내분비계 질환의 증상 중 하나이다. dwarfism은 왜소증을 뜻하며, 성장 호르몬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giantism은 거인증을 의미하며, 성장 호르몬 과다 분비로 인해 발생한다. goiter는 갑상선종을 말한다. Garve's disease는 그레이브스병으로, 자가면역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다. hirsutism은 다모증을 의미한다. hypothyroidism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말하며, 갑상선 호르몬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myxedema는 점액수종을 의미하며, 갑상선 기능 저하로 인한 증상 중 하나이다. parathyroid hormone은 부갑상선 호르몬을, pituitary hormone은 뇌하수체 호르몬을 말한다. progeria는 조로증을 뜻한다."


1.3. 내분비계 암환자의 주요문제 및 질환

내분비계 질환은 노화, 질병, 스트레스, 환경물질, 선천적 장애, 유전 등 여러 요인과 관련이 있다. 수술, 외상, 암 또는 비암성종양, 감염, 자가면역질환도 내분비계 외상을 초래한다. 내분비샘에서 주요 문제는 호르몬 과다분비, 과소분비와 호르몬의 활성을 방해하는 저항성과 관련이 있다.

갑상선 암은 모든 암 중 1% 미만을 차지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여성이 남성보다 2배정도 높은 발생빈도를 보인다. 갑상선 자극호르몬(TSH)이 갑상샘을 과도하게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초래된다. 원인으로는 요오드 결핍, 갑상샘종 유발물질의 장기 투여, 방사선조사,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등이 있다. 갑상샘 세포가 비후되고 증식되어 악성종양으로 진행한다. 주요 유형은 유두성암, 여포성암, 수질암, 퇴화성암 등이 있다.

위험요인으로는 두부와 경부의 방사선 노출경력, 20세 이하와 60세 이상에서 갑상샘결절의 발생, 유전적 요인, 갑상샘암의 가족력, 다양한 내분비 종양의 가족력, 갑상샘암의 과거력 등이 있다. 초기에는 무통성의 딱딱하며 고정된 불규칙한 결절이 만져지나 임상적으로 정상기능을 유지한다. 진행되면 목이 쉽거나 호흡곤란, 성대마비 등이 나타난다.

진단은 갑상샘 스캔, 침생검 등이 사용된다. 치료는 수술, 방사선요법, 화학요법이 있다. 수술은 전체 갑상선절제술을 하고 림프절 침범 시 림프절도...


참고 자료

조경숙 외 (2016),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580-584,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조경숙 외 (2016),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679-680
조경숙 외 (2016),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195, 198
화순전남대학교 병원 홈페이지 https://www.cnuhh.com/sub.htm?PID=020113&deptcode=ES
현문사 / 여성건강간호학Ⅱ / 박영주 외
현문사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 박은영 외
http://www.kmle.co.kr/search.php 의학검색 엔진
성미혜, 홍영혜 외 / 2008년 /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 수문사
MEDIC MEDIA / 2009 / 간호사·학생간호사를 위한 왜, 무엇을 & 어떻게 3 / 의학서원
김금순, 최경옥 외 / 2012 /성인간호학Ⅱ / 수문사
박미화, 김정이 외 / 2014 /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지침서 / 의학서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