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파킨슨병의 정의와 역학
1.1. 파킨슨병의 개념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 병 다음으로 흔한 신경 퇴행성 질환 중 하나이다. 중뇌에 위치한 흑질에서 몸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소실되면서 발생한다.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50~60대에 발병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30세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는 청소년 파킨슨 증후군으로 따로 구분한다. 여성보다 남성에게 많이(남녀 비=1:0.7) 나타난다. 발생빈도는 인구 1,000 명 당 1명 내지 2명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60세 이상에서는 약 1%, 65세 이상에서는 약 2%정도가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1.2. 파킨슨병의 발병률과 유병률
파킨슨병의 발병률과 유병률은 다음과 같다.
파킨슨병은 인구 1,000명 당 1명 내지 2명 정도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60세 이상에서는 약 1%, 65세 이상에서는 약 2%의 유병률을 보인다. 즉,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파킨슨병 환자의 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30세 이전에 발병하는 청소년 파킨슨 증후군은 전체 파킨슨병 환자의 5% 정도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며, 대부분의 환자는 50-60대에 발병한다. 또한 여성보다 남성에서 발병률이 더 높은데, 남녀 비율이 약 1:0.7 정도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약 10만 명 정도의 파킨슨병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고령화 사회 진입과 함께 파킨슨병 환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 파킨슨병의 병인
2.1. 생리학적 원인
파킨슨병의 생리학적 원인은 흑질의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적으로 사멸하여 도파민 분비가 감소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그 정확한 사멸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흑질 신경원은 기저핵 내에 국소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이는 자유 유리기(세포독성물질)에 의해 점차 손상을 받아 사멸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adine(MPTP)라는 독소를 투여하면 도파민 운반체에 의해 흑질의 도파민 신경세포로 가서 산소 유리기와 질소가 생성되어 신경세포로 확산되고 과산화물과 결합하여 강력한 자유 유리기인 과산화질산염을 생성하여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뇌염 후에 생기는 경우나 권투선수 생활에서 받는 무수한 충격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 등, 가장 유력한 가설은 MPTP 가설이다. 마약의 일종인 신경독소물질 MPTP는 신경독소 그 자체이거나 유사체에 의한 노출로 흑질-선조체로의 도파민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켜 ATP 생산에 장애를 입혀 파킨슨병의 임상 증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칼슘 항상성, 채널펌프, DNA 반복, 단백질 조절 등에 의해 파킨슨 환자의 흑질에 있는 세포 대사 작용을 직·간접적으로 손상시키기도 한다. 역학조사를 통해 농약, 산업폐기물을 포함한 유기용매,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같은 외부 독소가 파킨슨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밝혀진 여러 원인들이 파킨슨병의 병태기전 전체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2.2. 유전적 요인
파킨슨병의 약 5~10%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인 유전병으로 나타난다"".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유발되는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들이 밝혀졌는데, 상염색체 우성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유전자인 α-synuclein과 LRRK2, 상염색체 열성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Parkin, DJ-1, Parkin1이 있다"".
α-synuclein은 신경말단에서 발견되는 단백으로 14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막과 결합하는 특성으로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 인지질 대사효소 활성도 조절, 단백 폴딩 및 용해도 조절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α-synuclein의 축적이 파킨슨병 병리기전의 초기단계로 여겨지며, Lewy body에서 관찰되는 α-synuclein의 응집화와 섬유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LRRK2(Leucine-rich repeat Kinase 2)는 산발적 형태에서 높은 빈도의 돌연변이가 발견되는 특이한 유전자로, 다양한 단백질 도메인을 가지고 있으며 LRRK2의 변이는 신경세포의 사멸을 촉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