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케이스 A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09.07
9,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심방세동 케이스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심방세동의 정의 및 특징
1.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2.1. 심장의 구조와 기능
2.2. 심방세동의 원인 및 병태생리
2.3. 심방세동의 증상 및 진단
2.4. 심방세동의 합병증
2.5. 심방세동의 치료 및 관리

3. 환자 사례 분석
3.1. 일반적 특성
3.2. 건강력
3.3. 검사 결과 분석
3.4. 간호 사정

4. 간호 과정
4.1. 간호 진단
4.2. 간호 계획 및 중재
4.3. 간호 평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심방세동의 정의 및 특징

심방세동은 부정맥 중 가장 흔한 형태로, 심방에서 발생하는 빈맥(빠른 맥)의 한 형태이다.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적 리듬에서 벗어나 심방 내에서 불규칙적이고 빠른 전기 신호가 발생하여 심방 수축이 효율적이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심장 리듬에서는 동방 결절에서 발생한 전기 자극이 방실 전도계를 따라 규칙적으로 전달되지만, 심방세동에서는 동방 결절에서 정상적인 전기 자극이 사라지고 심방의 여러 부위에서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하여 심방 내부에서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300~600회/분)가 나타난다. 이렇게 불규칙한 전기 신호가 방실 결절을 거쳐 심실로 전달되면 심실 수축도 불규칙해지고 맥박 또한 매우 빠르고 불규칙해지게 된다.

심방세동은 일반적으로 노화에 따른 심방 근육의 변성과 관련이 있으며,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등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많이 발생한다. 또한 심장 수술 후에도 35~50%까지 발생할 수 있다. 특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저 질환과 관련이 있다. 심방세동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높아지며, 85세 이상에서는 20% 이상의 유병률을 보인다.


1.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심방세동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정맥 중 하나이며, 고령화 인구의 증가로 인해 그 유병률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이는 40세 이상 인구의 2%정도를 차지하며, 6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6-7%까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의 심방세동 환자 수는 약 30만명으로 추산되며, 매년 1만명 정도의 환자가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앞으로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심방세동 환자 수 역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심방세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심방세동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합병증, 치료 및 관리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환자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심방세동 환자에게 적절한 예방과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 기관이다. 심장의 2/3는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의 첨단부인 Apex는 좌측 제 5늑간 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동맥과 폐동맥의 시작부위이다. 심장의 기저부인 Base는 제 3늑간 부위에 위치하며, 상대 및 하대 정맥이 유입되는 곳이다.

심장조직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의 가장 바깥층인 심외막(epicardium)은 장측 심낭과 같은 구조이고, 중간층인 심근(myocardium)은 선 모양의 근섬유로 구성되어 심장의 수축을 담당한다. 가장 안쪽층인 심내막(endocardium)은 내피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은 이중벽의 심낭(per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측의 장측심낭과 외측의 벽측심낭 사이에는 20~30mL의 심낭액이 있어 윤활액 역할을 한다.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되며, 다시 위 아래의 심방, 심실로 나뉜다. 우심방은 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을 받으며, 우심실은 심장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여 심실의 이완기 동안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여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낸다. 좌심방은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동맥혈)을 받아 좌심실로 보내고, 좌심실은 좌심방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여 대동맥을 통해 전신동맥순환계로 방출한다.

심장에는 삼첨판, 승모판, 대동맥판, 폐동맥판 등의 판막이 있어 심장의 혈액 유입과 유출을 조절한다. 심장에는 관상동맥이 있어 심근에 혈액을 공급한다. 좌측관상동맥은 심근 내 중격, 심실전벽에 혈액을 공급하고, 우측관상동맥은 우측 심근에 혈액을 공급한다.

심장의 기능은 전신에서 환원된 혈액을 정맥계로부터 모아서 폐로 보내며, 신선한 혈액을 펌프질하여 신체조직으로 운반하여 산소와 영양을 전달하는 것이다. 심장은 분당 70-100회 박동한다. 폐순환은 전신순환의 1/5에 해당하고, 체순환은 전신순환의 4/5에 해당한다. 좌, 우심실의 펌프작용으로 발생되는 혈압이 혈액순환의 원동력이 된다.


2.2. 심방세동의 원인 및 병태생리

심방세동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방세동은 주로 노화와 함께 발생하는 심방 근육의 재형성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고혈압, 심부전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발작성 심방세동은 특별한 원인 없이 정신적 스트레스, 격렬한 운동, 급성 알코올 중독 및 자율신경계 이상 등이 원인이 되는 반면, 지속성 심방세동은 고혈압, 판막질환, 심근 허혈, 심근증 등이 원인이 된다. 원인이 되는 기저 질환이 없는 경우를 고립성 또는 일차성 심방세동으로 분류한다.

심방세동의 병태생리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심방 재형성이다. 고혈압, 심부전 등의 외부적 스트레스로 인해 심방에서 염증 반응과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심근 세포 비후, 괴사가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재형성된 심방에서는 심근 세포 사이의 전기적 해리가 일어나 불균일한 전도와 국소 회귀가 일어나기 쉬워져 심방세동이 발생하고 지속되게 된다. 심방세동이 오래 지속될수록 심방의 재형성은 더욱 심화되며, 일부는 비가역적이므로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심방세동의 전기생리학적 기전이다. 심방세동이 발생하면 Ca2+ inward current가 감소하고 inward rectifier K+ current가 증가하여 심방의 불응기가 짧아진다. 반면 구조적 심장질환은 심방의 불응기를 길어지게 하므로 전기적으로 불균일해져 심방세동이 발생하기...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2010)/ 포널스출판사/ 김정애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2016)/ JMK
나이팅게일핸드북(2016)/ 대한남자간호학교수협의회 편저/ 포널스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개정된 난다 간호진단 목록 (2015-2017): Nursing Diagnoses 2015-2017/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10th Edition (NANDA International)
심방세동의 증상 및 진단, 치료의 모든 것 / 부정맥 명의 삼성 메디컬센터 순환기내과 김준수 교수
조영숙 외. (2013). 성인간호학 하권(제 6판). 서울: 현문사.
의학 잡지 20호 심방세동. 삼성의료원. 정태호 내과
심방세동 혹은 심방조동에 대한 수술요법 : Kosakai maze 수술의 임상적 연구 =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flutter and fibrillation ; A clinical analysis of Kosakai maze operation
생리학 <2010, 수문사>
간호사를 위한 해부학 <2010, 수문사>
성인간호학(하). 황옥남 외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원종순 외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
드러그인포:http://www.druginfo.co.kr/
대한 진단검사 의학회:https://www.kslm.org/
서울아산병원:http://www.amc.seoul.kr/asan/main.do
헬스조선 뉴스, 2022.09.14.,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치명적인 뇌경색, 노인에게 흔한 심방세동이 주 원인”,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
대한부정맥학회, 심방세동, http://www.k-hrs.org/NContents.asp?LoadPage=N_AtrialFibrillation
Korean J Med, 박준범 외, “2018 대한부정맥학회 심방세동 환자의 통합적 관리 지침”, 93(4):336-343. https://doi.org/10.3904/kjm.2018.93.4.336
Korean J Med, 이소령 외, “2018 대한부정맥학회 심방세동 위험인자와 동반된 심혈관계 질환의 발견과 관리”, 93(4):324-335. https://doi.org/10.3904/kjm.2018.93.4.324
International Journal of Arrhythmia,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남기병, 심방세동의 병태생리, https://www.e-arrhythmia.org/journal/view.php?number=22
International Journal of Arrhythmia,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신승용, “심방세동의 병태생리학과 진단”, 2017;18(3):133-136, https://doi.org/10.18501/arrhythmia.2017.021
2018, 대한부정맥 학회 심방세동 치료 지침,https://www.k-hrs.org:4433/P_Board_List_TypeQA_EDUCareinstructions.asp?LoadPage=P_EDUCareinstructions
2021, 대한부정맥학회 심방세동 진료지침, http://k-hrs.org/upload/Board_%EC%8B%AC%EB%B0%A9%EC%84%B8%EB%8F%99%20%EC%B9%98%EB%A3%8C%20%EA%B0%80%EC%9D%B4%EB%93%9C%EB%9D%BC%EC%9D%B8.pdf
심방세동의 증상 및 진단, 치료의 모든 것, 순환기내과 김준규 교수 온라인 강의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성인간호학 2, 윤은자 외, 수문사
드러그 인포 (약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