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모의 수업 지도안
1.1. 수업 개요
수업 개요는 수업의 전반적인 내용과 구조를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부분이다. 이 수업 지도안의 수업 개요에는 학습 대상, 학습 목표, 학습 자료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학습 대상은 한국어 초급 수준의 중국인 여자 대학생 4명으로, 구체적인 학습 동기가 없으며 취미로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학습 목표는 가능함과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으)ㄹ 수 있다/없다' 문법과 결합 가능한 동사 표현을 사용하여 여행지에서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학습 자료로는 '서울대 한국어 2A' 교재의 7과 '여행과 방문' 부분(80-83쪽)이 활용된다.
이와 같이 수업 개요에는 수업의 전반적인 설계와 준비 사항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어, 수업의 전반적인 흐름과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와 학습자 모두가 수업의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1.2. 수업 목표 및 내용
수업 목표 및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습 대상은 한국어 초급 수준의 중국인 여자 대학생 4명으로, 구체적인 학습 동기가 없으며 취미로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하였습니다. 학습 목표는 가능함과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으)ㄹ 수 있다/없다' 문법과 결합 가능한 동사 표현을 사용하여 여행지에서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학습 자료로는 '7과 여행과 방문' 교과서 80-83쪽과 문형 자료를 활용할 계획입니다."
1.3. 수업 단계별 활동
1.3.1. 도입
도입 부분에서는 학습자들의 경험과 상황을 활용하여 목표 문형이 사용된 문장을 노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수업을 시작하면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일상적인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문장을 제시하여, '-(으)니까'가 어떠한 기능으로 사용되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오늘은 바쁘니까 내일 만나요", "친구가 오니까 청소를 해요"와 같은 문장을 통해 학생들이 '-니까'가 이유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