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산화-환원 적정법 중 아이오딘 적정법을 이용하여 시판되는 비타민 C 영양제에서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비타민 C 영양제의 질량과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도 실험의 목적에 포함된다.
1.2. 실험 이론
1.2.1.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의 이동을 수반하는 화학 반응으로, 산화는 물질이 산소를 얻거나 수소 또는 전자를 잃는 것을 의미하고, 환원은 물질이 산소를 잃거나 수소 또는 전자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산화와 환원은 항상 함께 일어나는데, 한 물질이 산화되면 다른 물질이 환원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산화-환원 반응에서는 산화수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산화수란 원자가 이온화되었을 때의 전하량을 의미한다. 산화된 물질은 전자를 잃게 되므로 산화수가 증가하고, 환원되는 물질은 전자를 얻으므로 산화수가 감소한다.
예를 들어, Zn(s) + CuSO4(aq) → ZnSO4(aq) + Cu(s) 반응에서 Zn은 0에서 2+로 산화되어 전자를 잃고, CuSO4는 Cu가 2+에서 0으로 환원되어 전자를 얻는다. 이처럼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의 이동을 동반하며, 물질의 산화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2.2. 비타민 C
비타민 C는 아스코르브산이라고도 불리는 필수 비타민의 한 종류이다. 거의 모든 음식물에 들어있을 정도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비타민 중 하나이다. 비타민C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는 육식 동물은 자체적으로 체내에서 합성하기 때문에 채소와 과일을 먹지 않아도 되지만, 합성하지 못하는 동물은 반드시 섭취해야 한다. 인간은 비타민 C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필수 비타민의 한 종류이다.
비타민 C는 강력한 환원제로써 항산화 작용이 있고, 콜라겐 합성 효소와 생물의 에너지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의 보조 효소이다. 비타민 C가 부족하면 콜라겐 합성 과정이 차단되어 괴혈병의 전형적인 증상인 출혈, 감염 및 뼈의 연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비타민 C는 인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비타민이며, 괴혈병 예방과 콜라겐 합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섭취해야 한다"이다.
1.2.3. 적정
적정(titration)이란 일정한 부피의 시료용액 내에 존재하는 알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이것과 반응하는 데 필요한 이미 알고 있는 농도의 시약의 부피를 측정하여 그 양으로부터 알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적정에서는 이미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 용액을 이용하여 미지 농도의 용액 속에 존재하는 용질과 완전히 반응시키기 위해 소모된 표준 용액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분석물의 농도를 결정한다. 적정법은 산-염기 중화 반응, 침전 반응, 산화 환원 반응, 그리고 착물 형성 반응 등을 주로 이용한다.
당량점(equivalence point)은 같은 당량의 산과 염기가 반응한 점으로, 중화반응을 포함한 모든 적정에서 적정하는 물질과 적정 당하는 물질 사이에 양적인 관계를 이론적으로 계산해서 구한 점을 말한다. 실험적으로 검출된 종말점(end point)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종말점(end point)은 지시약의 색이 변하는 점으로, 적정이 끝나는 지점이다. 실험자가 정량 대상 물질에 대하여 당량점에 도달한 양의 적정액이 가해졌다고 판단하고 적정을 멈추는 지점을 말한다.
따라서 적정 실험에서는 미지 용액 중 분석 대상물질의 양을 정확히 알고 있는 표준 용액을 사용하여 이 둘 간의 화학량론적 관계를 통해 분석 대상물질의 양을 구하게 된다. 이때 종말점을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량점과 종말점의 차이가 적정 오차를 나타내게 된다.
1.2.4. 당량점
당량점이란 적정에서 적정되는 물질과 적정하는 물질 간의 화학량론적 반응이 완결되는 지점을 말한다. 당량점은 적정 반응의 이론적 관계를 통해 계산으로 구할 수 있는 값이다.
적정에서 당량점과 실제 실험에서 관찰되는 종말점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당량점은 이론적 계산값이므로 실제 적정 과정에서는 이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험에서는 지시약의 색변화를 관찰하여 적정의 종말점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 종말점과 이론적 당량점 사이에 차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