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호흡개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졸중(Stroke)
1.1. 정의 및 원인
1.2. 증상 및 징후
1.3. 위험요인
1.4. 진단적 검사
1.4.1. 컴퓨터 단층촬영(CT)
1.4.2. 자기공명영상(MRI)
1.4.3. 동맥혈가스분석(ABGA)
1.5. 의학적 치료
1.6. 합병증
2. 패혈증(Sepsis)
2.1. 정의 및 원인
2.2. 증상
2.3. 진단
2.4. 치료
3. 호흡기계 관리
3.1. 저산소증의 임상증상
3.2.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사정
3.3. 동맥혈가스분석 정상 수치
3.4. 비정상적인 호흡양상
4. 간호중재
4.1. 산소 공급 체계
4.2. 흉관 관리
4.3. 기침억제 약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졸중(Stroke)
1.1. 정의 및 원인
뇌졸중은 급속이 발생한 국소적인 뇌기능의 장애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그전에 죽음에 이르는 것으로 뇌혈관의 병 외에는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이다.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CO2와 젖산과 같은 대사산물을 제거한다. 뇌의 혈류가 감소하면 수분 내에 뇌 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뇌졸중은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뇌동맥이 폐색되어 발생한다. 혈전성 뇌졸중과 색전성 뇌졸중이 전체 뇌졸중의 80%이다.
혈전성 뇌졸중은 일시적인 언어 손상, 편마비, 편측 감각이상과 같은 전구증상이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생기지는 않는다. 뇌혈전증이 시작될 때 두통이 생기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현기증, 혼돈, 발작 등이 있을 수 있다. 열공뇌졸중(lacunar stroke)은 혈전성 뇌졸중의 한 유형으로 뇌의 백질이나 심부 회백질 내에서 발생한다.
색전성 뇌졸중은 색전이 대뇌동맥을 폐쇄하여 발생한다. 색전의 흔한 원인은 심장 문제로 비판막성 심방세동, 허혈성 심질환, 류마티스성심질환, 심근경색이나 인공판막대치술 후 혈전 등이다.
1.2. 증상 및 징후
초기에는 전구 증상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색전성 뇌졸중 발병 이후 일시적인 반신 부전마비, 언어장애, 신체 한쪽의 지각 이상, 편측 부전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의식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는데 기억력과 판단력, 문제 결정과 의사결정의 능력이 손상된다.
혈전성 뇌졸중은 일시적인 언어 손상, 편마비, 편측 감각이상과 같은 전구증상이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생기지는 않는다. 색전성 뇌졸중은 색전이 대뇌동맥을 폐쇄하여 발생한다. 색전의 흔한 원인은 심장 문제로 비판막성 심방세동, 허혈성 심질환, 류마티스성심질환, 심근경색이나 인공판막대치술 후 혈전 등이다.
1.3. 위험요인
뇌졸중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혈압은 뇌졸중의 가장 주요한 위험요인이다. 고혈압은 혈관벽을 손상시켜 뇌출혈과 뇌경색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혈압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당뇨병은 혈관 기능을 악화시키고 죽상경화증을 촉진시켜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 당뇨환자는 정기적인 혈당 관리와 함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셋째, 고지혈증은 죽상경화증을 유발하여 뇌졸중 발생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흡연은 혈관 기능을 악화시키고 혈전 생성을 증가시켜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 금연은 뇌졸중 예방을 위한 필수적인 생활습관 개선이다. 다섯째, 비만과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심방세동 등의 기저 질환들도 뇌졸중 발생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적절히 관리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진단적 검사
1.4.1. 컴퓨터 단층촬영(CT)
CT 스캐너를 이용한 컴퓨터단층촬영법은 뇌졸중 진단을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X-선을 이용하여 신체를 촬영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체의 단면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CT는 비교적 빠른 시간에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뇌출혈 여부를 신속히 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뇌종양이 뇌출혈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고, 허혈 뇌졸중의 경우 발병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야 병변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CT와 더불어 MRI 검사 등 다양한 영상 진단 기술을 함께 활용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1.4.2. 자기공명영상(MRI)
자기공명영상(MRI)은 CT와 함께 뇌졸중 검사에 많이 사용되는 ...
참고 자료
일반응급처치 굿라이프, 2014, 김재호, 이담북스
성인간호학Ⅰ, 2012, 김금순, 김영숙,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임상간호와 영양, 2013, 번영순 외, 정담미디어
[네이버 지식백과] 뇌졸중 [stroke]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성인간호학 상권 제 7판, 현문사, 황옥남 외
서울아산병원>질환백과>패혈증
서울대병원>의학정보>패혈증
약학정보원
NANDA 간호진단
임상약어연구회(2016), 의학간호약어해설사전, 대광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