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자의 특징과 역할
1.1. 한국어에서 한자의 기능
1.1.1. 한자의 독해력 제고
한자의 독해력 제고는 한국어 사용자들에게 있어 중요한 기능이다. 한글의 표기단위인 음절은 발음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특히 한자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글로 표기된 한자어 글자 하나는 한자 하나에 대응하며, 대부분의 한국어 사용자들은 이러한 한자어 글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직관적으로 알고 있다."
예를 들어, '독학', '독점', '독립'과 같은 단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독'이라는 글자의 특정한 의미를 한국어 사용자들은 암묵적으로 알고 있다. 즉, 한글에서 나타나는 글자 하나가 한자어의 의미를 구성하고 있는 형태소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한자를 사용한다면 한자를 포함한 단어의 인지 수행이 좋아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자의 활용은 한국어 사용자들의 독해력 제고에 유익한 것이다.
1.1.2. 한자의 조어력을 통한 어휘 지식 향상
한자의 조어력을 통한 어휘 지식 향상이다.
한자는 표의문자로 조어력이 높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조어력이란 하나의 한자가 얼마나 많은 어휘를 형성하고 있는지 수량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한자의 조어력을 이용하여 한국어 어휘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은 예를들어, '国(국)'이나 '場(장)'의 경우를 보았을 때, 이 '国(국)'이나 '場(장)' 이라는 한자를 이용한 단어로 국적, 한국,미국,영국,외국,장소,극장,수영장,시장,운동장 등 접미사처럼 어휘 끝에 위치하여 각각 '나라', '장소', '곳' 의 의미로 한자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한자를 통한 어휘 확장 학습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한자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한자의 의미를 파악하여 한국어 한자어 어휘를 확장해가는데 도움을 준다.
1.2. 일본어에서 한자의 기능
1.2.1. 조어기능
일본어에서 한자의 조어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메이지 시대에 이 조어기능이 활발하게 나타났는데, 서양의 문물과 개념을 한자의 표의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조어가 나타나게 되었고, 이는 근대화에 큰 역할을 하였다. 예를 들어, '電'이라는 한자를 이용해서 「電信」, 「電車」, 「送電」, 「感電」 등 다양한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것이 조어기능이다.
이러한 조어기능에 대해서는 2자한어에 집중되어 있어 다수의 동음이의어가 나타나고 결국 일본어 운용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는 비판도 있다. 그러나 이는 조어주체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고 일본어가 가지고 있는 단순한 음절구조와 음운체계의 단순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1.2.2. 동음이의어 구별 기능
일본어에서 한자의 동음이의어 구별 기능이다.""
한자가 존재함으로 인해 발음이 같은 단어들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思考」、「志向」、「嗜好」 등의 단어는 전부 「しこう」 라는 발음으로 나타나지만, 한자를 통해서 어떤 뜻을 나타내는지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동음이의어가 존재한다고 해서 모두가 같은 중요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대표어휘가 나타나는 것으로 문맥의 도움을 받아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1.2.3. 문절 표시 기능
일본어에서 한자는 문절 표시의 기능이 있다""
한자가 존재함으로 인해 띄어쓰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일본어는 단락표시를 위해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