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삼성전자와 애플의 경영정보시스템 활용
1.1. 삼성전자
1.1.1. 업종과 조직문화
삼성전자는 전자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다국적 기업으로 1969년 1월에 창립되었다. 삼성전자는 백색 가전과 AV기기의 생산에서 출발해 반도체기업 인수 통신회사 인수 등 다양한 기업과의 M&A를 통해 기술 개발, 혁신에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반도체, DRAM, 디스플레이, 플래시 메모리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이를 제품 개발에 투자하여 다양한 전자 제품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었다. 현재 각종 전자제품 분야에서 1위를 달성하고 있으며, 영상디스플레이, IT솔루션, 생활가전, 무선, 네트워크, 반도체, LCD 사업부를 통해 거의 모든 IT제품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삼성전자의 뛰어난 성과는 특유의 조직문화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는 삼성인의 삼위일체 가치체계로 요약될 수 있다. 삼성의 핵심가치인 인재제일, 최고지향, 변화선도, 정도경영, 상생경영과 경영이념, 핵심가치가 함께 어우러져 삼성인의 삼위일체 가치체계를 구성하였고 이는 삼성 특유의 기업 문화를 만들어냈다.
1.1.2. 주요 제품과 서비스
삼성전자의 주요 제품과 서비스는 크게 완제품과 부품 분야로 구분된다.
완제품 분야에서는 스마트TV와 갤럭시S 시리즈, 갤럭시 Tab 시리즈 등이 있다. 스마트TV는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중저가 시장까지 포괄하는 지배력을 가지고 있으며 6년 연속 TV 부문 세계 1위의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삼성 TV APPS를 통해 최근 1000 APPS, 10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갤럭시S 시리즈는 제품 혁신으로 시장을 장악한 대표적인 사례로, 안드로이드OS 진영의 대표적인 스마트폰으로 자리잡았다. 갤럭시 탭 시리즈도 하드웨어 사양 면에서 타사를 압도하나 안드로이드 인프라 부족으로 아이패드에 비해 판매량이 다소 적었다.
부품 분야에서는 반도체와 LCD 패널이 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는 기술 개발과 혁신으로 B2B 시장에서 세계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LCD 패널도 9년 연속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삼성전자의 이러한 다양한 제품 라인업과 시장 지배력은 삼성전자가 오랫동안 지속해온 적극적인 M&A와 기술 혁신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삼성전자는 백색 가전과 AV기기 생산을 시작으로, 반도체 기업과 통신회사 인수 등을 통해 끊임없이 기술 개발과 혁신에 투자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반도체, DRAM, 디스플레이,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를 다시 제품 개발에 투자하여 현재의 제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다.
1.1.3. 주요 타겟시장과 고객층
삼성전자의 주요 타겟시장과 고객층은 전 연령층을 포괄하는 양상을 보인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사업분야를 폭넓게 공략하고 있기 때문에 단일 세분시장이나 선택적 전문화 전략이 아닌 전체 시장에 대응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차별적 마케팅을 통해 다양한 제품 Line up을 구성하여 다양한 세분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스마트TV의 경우 20대 후반에서 30, 40대가 주요 타겟시장이며, 갤럭시 S 시리즈의 경우 10대에서 40대를 아우르는 타겟시장 선정을 보인다. 하지만 50대 이상의 세분시장의 경우 IT기기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하여 아직까지 주요 타겟시장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타겟시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주요 고객층은 전 계층을 포괄할 수 있다. 40,50대의 경우 높은 인지도와 친숙성, A/S 편리성 등을 통해 고객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10~30대의 경우 디자인, 젊은, 기술 혁신등의 새로운 가치로 고객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전 세대의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해외시장에서는 기술 개발을 통한 신 시장 개척과 제품 다각화 전략을 통해 프리미엄 이미지를 이용한 고객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펼치고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인하여 반도체, LCD 부품의 판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기업 고객들이 주요 고객층으로 확보되어 있다.
1.1.4. 경영실적 분석
삼성전자의 최근 3년간 경영성과는 매우 긍정적이다. 급변하는 IT 시장에서 전사적인 역량을 고성장 세분시장에 집중하여 제품 경쟁력 및 실적 극대화를 꾀하는 집중력을 보여줬다. 주요 사업 부문 간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되어 사업 부문별 1등의 위상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으며, 이는 삼성전자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2009년 영업이익 63,485억원에서 2010년 172,965억원, 2011년 3분기까지 109,533억원을 기록하며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냈다. 이는 삼성전자가 다양한 타겟시장과 고객층을 확보하고 주요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왔기 때문이다. 특히 스마트TV, 갤럭시S 시리즈, 갤럭시 Tab 시리즈 등 완제품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반도체와 LCD패널 등 부품 분야에서도 세계 1위 지위를 굳건히 하고 있다. 이처럼 삼성전자는 기술 개발과 혁신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괄목할만한 경영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2. 애플
1.2.1. 업종과 조직문화
삼성전자는 전자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다국적 기업으로 1969년 1월에 창립되었다. 백색 가전과 AV기기의 생산에서 출발해 반도체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