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QI 손씻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손 위생의 목적 및 정의
2.1.2. 손 위생이 필요한 시점
2.1.3. 올바른 손 위생법
2.2. 202*년 병원차원 QI활동
2.2.1. 주제 선정 필요성
2.2.2. 문제 분석 및 목표 설정
2.2.3. 질 향상 계획 수립
3. 결론
3.1.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올바른 손씻기는 질병의 약 70%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신종 인플루엔자와 같은 접촉성 전염병과 MRSA감염, VRE감염 등의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6단계의 방법으로 40초 이상의 시간동안 손을 씻도록 권고하고 있다. 창원경상대학병원 내의 감염관리실에서도 미생물의 주된 전파원인 손을 통한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 위생 수행 관련 감염관리지침을 개발하여 직원뿐 아니라 보호자, 환자에게 배포하여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많은 경우 의료인의 손에 대한 미생물의 전파에 매개되는 경우가 많아 의료 관련 감염의 발생을 예방하는 가장 간단하고도 비용 효과적인 방안은 손 위생으로 알려져 있다. 의료진의 손 위생은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지만, 실제 손 위생 수행률은 권고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국내 의료에서는 특수 병상을 제외한 입원 병동에서는 보호자가 상주하며 식사나 이동 보조, 개인위생 보조 등의 많은 부분에 참여하고 있으며, 간호사가 환자와의 접촉 시간이 더 많은 것이 실정이다. 그러므로 의료 관련 감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의 적극적인 노력뿐 아니라 보호자처럼 환자와 오랜 시간 접촉하는 모든 사람이 의료 관련 감염의 심각성과 예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손 위생의 목적 및 정의
손 위생은 감염병 예...
참고 자료
신미자 외 공저, 간호관리학, 수문사, 2020
****병원[202*년 병원차원 QI활동]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