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성 담낭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만성 담낭염의 정의 및 특성
2. 만성 담낭염의 병태생리
2.1. 원인 및 발생 기전
2.2. 임상 증상
3. 만성 담낭염의 진단
3.1. 혈액 검사
3.2. 영상 검사
4. 만성 담낭염의 치료
4.1. 내과적 치료
4.2. 외과적 치료
5. 만성 담낭염의 간호중재
5.1. 식이요법
5.2. 약물요법
5.3. 합병증 예방
6. 사례연구
6.1. 일반적 사정
6.2. 간호진단 및 계획
6.3. 간호중재 및 평가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만성 담낭염의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담낭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는데, 담낭염의 주원인인 담석은 일반인의 10~20%에서 경험할 정도로 흔하며 약 80%에서 별 증상이 없다. 담낭염 중 급성 담낭염에 대해서만 연구자료가 많고 만성 담낭염의 역학에 대해서는 연구자료가 많지 않기 때문에 만성 담낭염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 따라서 만성 담낭염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1.2. 만성 담낭염의 정의 및 특성
만성 담낭염은 담낭의 지속적인 염증 상태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 담석이 담낭벽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급성 또는 아급성의 담낭염이 반복됨으로써 발생한다. 담석으로 인해 담낭 내벽의 점막이 손상되고, 반복적인 염증 때문에 림프구의 침윤과 섬유화가 진행된다. 이로 인해 담낭벽이 두꺼워지고 석회질의 침착이 생기기도 한다. 만성 담낭염 환자들은 대부분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않지만, 간혹 담낭에 의한 통증을 경험할 수 있다.
2. 만성 담낭염의 병태생리
2.1. 원인 및 발생 기전
담낭염의 90% 이상은 담석이 담도를 폐쇄하여 발생한다. 담석으로 인해 담낭 내벽의 점막이 손상되고 반복적인 염증이 발생하면 담낭벽이 두꺼워지고 석회질의 침착이 생기기도 한다. 담즙이 담낭 내에 정체되면 재흡수되어 담낭벽을 자극하는 화학적 자극제로 작용한다. 따라서 담낭의 손상된 순환, 부종 및 팽만과 더불어 담즙의 존재는 담낭벽의 허혈을 유발한다. 그 결과 조직은 괴사와 괴저로 탈락할 수 있으며 담낭벽에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비결석성 담낭염은 담낭 혈류의 저하, 해부학적 문제, 세균의 침입 등으로 초래된다. 노화로 인한 담낭 혈류의 저하, 심한 수술이나 손상, 화상 등으로 인한 해부학적 문제,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장내세균 등의 세균 감염이 비결석성 담낭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담낭염은 대부분 담석에 의한 것이며, 그 외에도 외상, 선천성 기형, 당뇨병, 기생충 감염 등과 관련이 있다. 담석이 담낭관을 막으면 담낭벽에 염증이 시작되고 담즙이 정체되며, 이차적으로 세균이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담낭의 손상된 순환과 담즙의 존재로 인한 화학적 자극은 조직의 괴사와 천공을 유발할 수 있다.
2.2. 임상 증상
만성 담낭염 환자의 경우 대부분 아무런 증상도 느끼지 않는다. 간혹 담낭에 의한 통증을 느낄 수 있는데, 평소에는 전혀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오른쪽 윗배에 통증이 나타나며 이 통증이 오른쪽 어깨와 등까지 방사되면서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고지방식이나 과식을 하게 되면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며, 윗배의 불쾌감과 팽만감이 생기기도 한다.
만성 담낭염 환자들에서는 열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통증은 급성 담낭염 통증보다 덜 중증이고 그만큼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여기에 Murphy's sign이 나타나는데, 이는 오른쪽 갈비뼈 아랫부분을 촉진할 때 공기를 깊이 흡입하면 통증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동성 압통 증상도 관찰되는데, 이는 복막염증을 의미한다. 환자들은 몸을 보호하려는 자세를 취하고, 복부 강직 및 복막자극 증상을 보인다. 또한 담낭산통(biliary colic)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담관이 폐쇄되었을 때 발생하며 빈맥, 창백, 발한, 탈진 등을 동반한다.
위장관 ...
참고 자료
유승미, 김숙영 외 3명(21.02.25),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김숙영 외 10명(22.02.28),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담낭염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 만성 담낭염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 담낭염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 초음파 검사
성인간호학 I, 윤은자 외 공저(2019),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98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A-KEROM30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KP08G0453
성과기반 통합 실습지침서, 한유정(2024), 목포과학대학교
홍영혜 외 공저(2008), “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김옥숙 외 공저(2012), “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실용 혈액학, S.M. Lewis 박사 지음(강희정 외 번역),1997, 고려의학
For nurse REVIEW BOOK, 전국간호대학교수, 2011, 의학서원
간호사를 위한 검사이야기, 채석래 외, 2011, 의학서원
임상약리학, 은재순 외, 2011,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