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통합교육 수업지도안
1.1. 교수·학습 모형
1.1.1. 협동학습 중 집단탐구모형(GI모형)의 특징
1.1.1.1. 협동학습의 개념
협동학습의 개념이다. 학생들은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서로 협동적, 경쟁적 상호의존관계를 맺거나 개별적 행동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피아제의 이론에 의하면 학생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인지발달에 가장 효과적이며 우리 사회의 대인관계가 주로 협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협동학습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즉 학교에서부터 협동적 대인관계에 익숙한 학생들이 사회에 훨씬 적응하기가 쉬울 것이다. 기존학습구조인 경쟁적 학습구조는 학교 교육에 경쟁의 원리를 도입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수준을 보인 아동들이 겪는 정서적 피해를 비롯한 극소수의 승자와 대다수의 패자를 양산하는 한계점을 보이고 있었고, 때문에 뒤이어 등장한 개별학습구조는 경쟁학습구조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하려고 하였으나 다른 문제들(극단적 개인주의자들의 등장,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없는 편협한 지식인 양산)이 발생하였다. 게다가 교사 스스로 혹은 동료의 지적자극을 거의 받지 못하므로 자신의 지적 능력은 말 그대로 자신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반하여 협동학습 구조 이론은 경쟁학습구조와 개별학습구조가 가지고 있는 정의적이고 인지적인 약점들을 동시에 제거하고, 아동의 지적 발달의 연구에서 밝혀낸 발달 심리와 집단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회 심리학의 연구 업적에 기초하여 1940년대 Deutch가 새롭게 형성시킨 이론이다. 그 후 많은 연구가들이 이를 교실현장에 실험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여 확신을 가진 하나의 교육운동으로 전개된 것이다.
1.1.1.2. 집단탐구모형(GI모형)의 주요 개념
집단탐구모형(GI모형)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집단탐구(GI) 모형은 Group Investigation의 약자로 학습자가 탐구자로서 학문적 지식을 배우고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갖게 해주는 수업모형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Thelen의 모형으로 그룹을 이루는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문제해결 활동에 참여하여 다양한 주제를 효과적으로 다루어가는 능력뿐 아니라 바람직한 사회적 기능을 길러주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1.1.3. 집단탐구모형(GI모형)의 특징 및 장점
집단탐구(GI) 모형은 교사가 도전적이고 다양한 측면의 문제를 제시하고 선택하도록 유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그 문제와 쟁점을 탐구하기 위해 학생이 공부하기 원하는 주제를 제시하고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함께 공부하면서 구성원은 탐구를 계획하고 그들의 계획을 실행하는 데에 협동적으로 참여한다. 그 계획에는 집단 구성원 사이의 분업이 포함된다. 그리고 토의가 완료되었을 때 집단은 그 결과들을 통합하고 요약하여 그들이 연구한 결과를 전체 학급에게 제시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은 학문의 내용을 발견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학문의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고, 학생들의 호기심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노력할 때 자연스럽게 유발되어 수업에 동기부여가 되고, 모둠 문제해결 활동에 참여하게 되면 다름 사람들과 공동작업을 효과적으로 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기능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GI모형은 학생이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주도적이고 학문적 기능의 성장을 얻게 하는데 좋은 모형이다.
1.1.2. 집단탐구모형(GI모형)의 전개
② 탐구계획 수립 단계
집단을 조직하고, 토의주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