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각 예민 환자를 위한 병원 환경 조성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각 예민 환자를 위한 병원 환경 조성 방안
2.1. 중환자실의 특성
2.1.1. 환아
2.1.2. 가족
2.1.3. 환경
2.2.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량과 역할
2.2.1. 중환자실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2.2.2. 중환자실 간호사의 태도 및 역할
2.3. 청각 예민 환자의 정서적 요구 충족을 위한 간호중재
2.3.1. 정서적 요구 충족을 위한 간호중재 I
2.3.2. 정서적 요구 충족을 위한 간호중재 II
2.4. 청각 예민 환자와의 의사소통 방법
2.5. 윤리적 고려사항 및 해결방안
2.6. 청각 예민 환자 간호를 위한 간호사의 역할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환아는 일반 성인과는 달리 신체적인 구조와 정서적인 측면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며, 변화되는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신체적, 정신적 질환의 악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 환아의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기 위해서는 환아의 가족뿐만 아니라 간호사 역시 그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 의학적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이전에는 치료하기 어려웠던 질병의 생존율이 높아졌고 반면 만성 질환아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질환아의 수가 증가하면서 환아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해 졌고 그에 맞는 간호 활동을 간호사는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2. 청각 예민 환자를 위한 병원 환경 조성 방안
2.1. 중환자실의 특성
2.1.1. 환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는 생소한 사람과 환경, 장치가 내는 소음, 엄마와의 분리로 매우 큰 불안감을 느낀다. 불안과 공포는 어떤 위협에 대한 경고반응으로 나타나고 억압된 무의식과 관련되어 발생한다. 또한 처치와 환경 때문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수면장애를 경험한다. 장기간 중환자실에 머무는 환아는 계속되는 조명으로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상실할 수 있고 퇴원 이후에도 지속되는 심리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때 현실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지남력 회복에 도움이 되며 곰인형 등과 같이 환아에게 친숙한 장난감은 안정감을 갖는 데 도움이 된다. [1]
2.1.2. 가족
자녀가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것은 부모에게 위기적 상황을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 부모로서 환아를 위한 역할 수행이 원활하지 못하면 스트레스는 가중되고, 상황에 대한 인지 및 대처 능력 부족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는 두려움과 긴장을 더욱 쉽게 경험한다. 중환자실 입원이라는 위기 상황에 부모는 환아와 가족전체가 적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부모를 포함한 간호 계획이 필요하다. 가족관계에 긴장이 고조되어 가족기능에 장애가 오고 가족구성원들은 각자의 역할책임을 완수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을 느끼게 되므로 가족의 발달적, 심리사회적 요구를 민감하게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중환아 전문 간호사와 의사, 재활전문가, 상담가들이 통합된 팀으로서 접근해야 한다. 가족들은 환아가 받는 간호나 질병의 예후, 중환자실의 환경에 대한 불안이 있을 수 있는데 간호사가 그에 맞는 설명을 해줘야 한다. 또한 간호사와 가족들 사이에 신뢰관계가 잘 형성되면 환아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2.1.3. 환경
중환자실의 환경은 청각 예민 환자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계속되는 조명과 감시기, 수액펌프 및 기관흡인기와 같은 기계적 장치들은 생소한 시각적 자극이 된다. 벽이나 천장에 칠해진 페인트 색이나 그림 역시 환자에게 시각적 자극이 된다. 특히나 조명은 가장 강한 시각적 자극이다. 조명의 종류, 밝기, 고정된 조명기기의 위치 그리고 창문의 유무와 옥외의 날씨에 따라 조명 상태는 일정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감시기의 경고음, 전화 벨소리, 기계모터가 돌아가는 소리, 사람들의 목소리 등은 환자에게 심각한 소음으로 작용하여 청각적 자극환경을 조성한다. 소음은 환자의 에너지 소모를 야기하며, 장기적 자극과 높은 데시벨의 자극은 달팽이관 손상과 청력손실의 요인이 된다. 특히 중환자실의 음향적 환경은 ...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1,2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실습1 지침서
순천향대학교병원 홈페이지 https://www.schmc.ac.kr/cheonan/selectBbsNttView.do?key=446&bbsNo=257&nttNo=73294&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1&integrDeptCode=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정문각
네이버 이미지 검색(약물)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image&query=H%2FD+%EC%9A%A9%EC%95%A1&oquery=h%2FD+%EC%9A%A9%EC%95%A1&tqi=h6j7Jsp0JXossOf%2BhPlssssstg0-116081
구글 블로그 https://www.google.com/search?q=NST+%EA%B2%80%EC%82%AC+%EA%B7%B8%EB%9E%98%ED%94%84&sxsrf=ALeKk011rMQUlCcjcb38b5g6XtAtt0fWKg:1621527435689&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CnbC21NjwAhVCFogKHXFvCo4Q_AUoAXoECAEQAw&biw=1366&bih=657
Reducing bullying and cyberbullying in schools-Eastern and Western Perspective (공저,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이상미, 박영숙, 방경숙 공저,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4.
김희순 외,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09,
김희순 외,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09,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0,
이명하, 간호전문직과 간호윤리, 현문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