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과학적 논리의 전개방식인 연역법과 귀납법을 비교설명 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연역법
2.1. 전개 방식
2.2. 사례
3. 귀납법
3.1. 전개 방식
3.2. 사례
4.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기본적으로 사회복지의 조직은 국가가 제정한 사회복지제도를 실제로 구현하는 조직이다. 이는 사회와 사회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는 여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존재하는 것이다. 즉, 사회복지 대상자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거나 사회복지서비스를 기획 및 제공함으로써 인간 혹은 사회문제를 해결 또는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회복지조직에 있어서 사회복지 전문가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업무를 실행 및 수행하는 사람이다. 사회복지서비스는 얼핏 일상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내부적으로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실제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 전문가의 가치와 지식, 기술에 의해 판단되고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복지 실천가에게는 체계성과 과학성이 요구되며, 특히 조사 영역에서 과학성은 더욱 요구된다.
2. 연역법
2.1. 전개 방식
연역법의 전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연역적 추리(연역법)는 명약관화한 전제들로부터 최종 결론을 이끌어내는 논증 과정이다. 연역적 논증에서는 그의 과정이 타당하고 전제들이 참이면, 그에 따른 결론도 참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연역적 논증에서 도출된 결론은 전제들이 통합되어 있을 뿐, 해당 전제 이외의 어떤 정보도 그에 포함 및 추가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역적 추리는 과학 지식의 정당화 및 가설의 설정에서 효과적인 방법이고, 설명과 예상에서 필수적인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역적 추리는 일반적 명제 혹은 보편적인 법칙 및 원리를 전제로 하여 개별적인 명제나 특수 원리, 법칙 등을 이끌어 내는 사고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연역적 추리의 전형적인 형태로는 '삼단 논법'을 들 수 있다. 이는 두 ...
참고 자료
최선희,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공동체, 2018.
황성동, (알기 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2015.
정길현, 초등수학영재의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 능력 실태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김미나, 실험 수업 유형 개발과 실험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귀납법과 수학적 귀납법/고영미/한국수학사학회/22022
연역법적 설교에 대한 재고/유현종/신학대학교/2019
권혁남 외, 사회조사방법의 이해, 소리내, 2023, p.13~17
선남이, 스마트 사회복지 조사론, 에듀파이터, 2019, p.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