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보화에 따른 특징은 무엇이 있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보화에 따른 특징
1.1. 정교화가능성 모델
1.2. 중심경로와 주변경로에 따른 태도형성 과정
1.3. 관여도에 따른 태도형성 경로의 차이
2. 단기기억의 특징과 마케팅 전략
2.1. 감각기억과 단기기억의 관계
2.2. 단기기억 능력 증가를 위한 정보단위 활용
2.3. 리허설의 유형과 특징
2.4. 단기기억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3. 소비자 학습의 접근 방법
3.1. 인지적 접근방법
3.2. 행동주의적 접근방법
3.3. 접근방법의 근원적 차이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보화에 따른 특징
1.1. 정교화가능성 모델
정교화가능성 모델에 의하면, 소비자의 정보처리와 태도 형성은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정교화가능성이 높은 경우 소비자는 제품정보에 초점을 두고 정보를 처리하므로 중심경로를 통해 태도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태도는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며 보다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반면 정교화가능성이 낮은 경우 소비자는 제품정보보다는 배경이나 모델과 같은 주변단서에 더 영향을 받으므로 주변경로를 통해 태도가 형성된다. 이는 비교적 단기간에 변화할 수 있으며 행동으로 연결되기 어렵다.
정교화가능성은 소비자의 동기와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관심과 관련성이 높고 처리능력이 뛰어나면 정교화가능성이 높아져 중심경로를 통해 태도가 형성된다. 반대로 낮은 관여도와 처리능력을 가진 소비자는 주변경로를 통해 태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정교화가능성 모델은 고관여 소비자와 저관여 소비자의 차이를 잘 설명한다. 고관여 소비자는 중심경로를 통해 제품 자체의 품질이 태도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지만, 저관여 소비자는 광고모델과 같은 주변단서에 더 의존한다.
따라서 마케터들은 이러한 소비자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고관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할 때는 제품정보 전달에 중점을 두고, 저관여 소비자에게는 주변단서를 활용한 광고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
1.2. 중심경로와 주변경로에 따른 태도형성 과정
사람들은 설득적 메시지에 노출된 경우 그 제품에 관한 태도의 형성 및 변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태도형성과정에 관한 다양한 연구 중 Petty and Cacioppo의 연구로서 태도형성경로와 관련된 그들의 견해를 정교화가능성 모델이라고 한다. 정교화가능성 모델에 따르면, 태도 형성은 두 가지 경로로 나뉜다.
정교화가능성이 높을 때 소비자는 제품정보에 영향을 받아 태도가 형성되며, 이를 중심경로라고 한다. 반면 정교화가능성이 낮을 때 소비자는 실행적 단서(광고의 모델, 배경음악 등)에 영향을 받아 태도가 형성되며, 이를 주변경로라고 한다.
중심경로를 통해 형성된 태도는 주변경로를 통해 형성된 태도에 비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며, 부정적 정보에 노출되어도 이에 저항적이다. 또한 중심경로를 통한 태도는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주변경로를 통해 형성된 태도는 비교적 단기간이며, 부정적 정보에 노출되면 쉽게 변화할 우려가 있고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
정교화가능성은 소비자의 동기와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소비자의 제품정보 처리 동기와 능력이 높을수록 정교화가능성이 높아져 중심경로 태도 형성을 ...
참고 자료
경영정보시스템 개론, 양정식, 한경사, 2013
한스 로슬링, 이창신 역, 『팩트풀니스』, 김영사, 2019.
전수환, 『전수환 경영학』, 세경, 2013.
이준구, 이창용, 『경제학원론』, 문우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