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발목 골절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발목 골절 사례연구 및 목적
1.2. 발목관절의 정의와 특징
1.3. 골절의 정의, 원인 및 종류
2. 본론
2.1. 발목 골절의 증상
2.2. 진단 및 검사
2.2.1. 진단적 검사
2.2.2. 임상검사 결과 분석
2.3. 치료 및 간호
2.3.1. 비수술적 치료
2.3.2. 수술적 치료
2.3.3. 합병증
2.4. 재활 및 예후
2.4.1. 회복과정
2.4.2. 노령환자의 특성 및 고려사항
3. 결론
3.1. 요약
3.2. 고찰 및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발목 골절 사례연구 및 목적
발목 관절은 경골, 비골, 거골 3개의 뼈가 만나서 이루는 관절로, 발목 부위에서 경골과 비골에 발생하는 골절을 주로 발목 골절이라 부른다. 흔히 복사뼈 또는 복숭아뼈라 불리는 부분의 골절이다. 발목 내측의 복사뼈는 내과라고 하며, 외측의 복사뼈는 외과라고 한다. 골절된 부위에 따라 내과 골절, 외과 골절이라고 하며, 둘 다 부러지면 양과골절이라고 한다. 양과 골절에 원위 경골의 후방 골절이 동반되면 삼과 골절이라고 한다.
통계청(2015)자료에 따르면 발목을 포함한 아래 다리의 골절이 500개의 질병 중 216위로 나타났다. 아주 빈번하게 나타나는 질병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꾸준히 내려오는 병이라고 볼 수 있다. 뼈는 몸 속의 중요한 장기들을 보호하고, 혈액을 생성하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그 중 발목 관절은 종아리와 발을 연결하는 관절로 우리 몸을 지탱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요한 역할을 지닌 발목관절에서의 골절은 주로 가쪽 복사뼈(lateral malleolus)의 몸 쪽 2~6cm 정도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하지만 본 연구 대상자는 내측복사(medial malleolus)를 침범하는 경골, 폐쇄성을 나타내고 있다. 흔히 발생하지 않는 내측복사에 대해 더 많은 발전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본 사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1.2. 발목관절의 정의와 특징
발목관절은 종아리뼈(비골)와 정강뼈(경골), 그리고 발목뼈(거골) 3개의 뼈가 만나 이루는 관절이다. 발목관절은 3개의 뼈와 이를 연결하는 다양한 인대로 이루어져 있어 보행 시 상당한 안정성을 유지한다. 즉, 발목관절은 경골, 비골, 거골 3개의 뼈 간 윤활관절로, 서있을 때와 걸을 때 이들 간의 운동을 허용하여 체중 부하와 추진력을 제공한다. 특히 발목관절은 대부분의 운동범위가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에 있으며, 10도 내외의 내반과 외반운동, 약간의 회전운동을 포함한다. 따라서 발목관절의 주 기능은 보행 시 충격과 체중부하를 흡수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목관절은 신체의 평형과 보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관절이다.
1.3. 골절의 정의, 원인 및 종류
골절(fracture)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의 원인은 자동차 사고, 낙상, 구타, 뒤틀림, 기계에 눌리는 압축 손상 또는 병리적 골절 등이다.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로는 개방(복합) 골절과 폐쇄성(단순) 골절이 있다. 개방(복합) 골절은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것이다. 폐쇄성(단순) 골절은 피부의 창상이 없어서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로는 완전 골절, 불완전 골절, 충돌골절 또는 감입골절, 분쇄골절, 전위 골절, 병리적 골절, 각형성 골절, 견열골절, 행군골절, 스트레스 골절 등이 있다.
완전 골절은 골막과 뼈가 모두 양쪽으로 분리되어 두 개의 골절편이 뚜렷이 나타나는 상태이다. 불완전 골절은 뼈의 한쪽 면만 파괴된 것이다. 충돌골절 또는 감입골절은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이나 뼈조직에 박히는 골절이다. 분쇄골절은 골절편이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부서진 상태이다. 전위 골절은 완전히 골절되어 있으면서 골절편이 골절선이나 관절 밖으로 분리된 상태이다. 병리적 골절은 골다공증이나 골종양으로 인하여 허약해진 뼈에서 골절이 생긴 것이다. 각형성 골절은 두 개의 골절편에 각도가 생기면서 중첩되기도 한다. 견열골절은 인대와 연결되어 있는 골절편과 다른 골절편이 분리된 상태이다. 행군골절은 오랜 행군 끝에 심한 피로로 중족골이 골절된 상태이다. 스트레스 골절은 뼈에 반복되는 힘이 가해질 때 발생되며 주로 마라톤 선수들에게 흔하다.
2. 본론
2.1. 발목 골절의 증상
발목 골절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골절의 원인, 부위, 정도, 종류, 그리고 다른 구조에 손상을 준 정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먼저, 변형이 나타날 수 있다. 뼈의 모양이나 위치가 변하여 각이 생기거나 회전 및 단축이 있으며 뼈윤곽의...
참고 자료
송경애 외(2020), 최신 기본간호학Ⅰ. 파주: 수문사.
송경애 외(2020), 최신 기본간호학Ⅱ. 파주: 수문사.
윤은자 외(2020), 아홉 번째판 성인간호학Ⅰ. 파주: 수문사.
윤은자 외(2020), 아홉 번째판 성인간호학Ⅱ. 파주: 수문사.
MEG GULANICK 외(2019), 수정판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송파: 현문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초구: 고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intro.do
약물정보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보건의료데이터개방시스템 https://opendata.hira.or.kr/home.do
서울대학교병원
국립암센터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 상, 수문사.
비판적사고와 간호
약학 정보원
서울대학교 간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 출판 문화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의 관점에서 본 한국 소아 청소년 골절의 발생 및 치료 양상
: 권용욱 ( Yong Wook Kwon ) , 이순혁 ( Soon Hyuck Lee ) , 김현우 ( Hyun Woo Kim ) , 황진호 ( Jin Ho Hwang )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7권 4호. 2014 pp.308-314
증례보고 : 동측 하지에 발생한 대퇴골 분절 골절과 경골 골절
: 손욱진 ( Oog Jin Sohn ) , 박철현 ( Chul Hyun Park ) , 배상근 ( Sang Keun Bae )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2권3호 (2009), pp.193-196
발목부상을 당한 석고환자의 발꿈치뼈·목말받침돌기 관찰을 위한 Broden 촬영법 연구
: 안병주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7권2호 (2013), pp.107-112
발목관절 골절시 비골의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 술식의 결과
: 한정수 ( Chung Soo Han ) , 임양선 ( Yang Sun Im ) , 정선택 ( Sun Teak Cheong )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15권4호 (2002), pp.477-482
성인간호학Ⅱ(2017), 김금순, 수문사
기본간호학Ⅰ(2013), 손정태 외, 현문사
MSD 매뉴얼 일반인용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