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성적발달단계 고착된현상과 극복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심리성적발달단계 이론
2.1. 구강기
2.2. 항문기
2.3. 남근기
2.4. 잠복기
2.5. 성기기
3. 고착된 발달단계
3.1. 고착된 것으로 생각하는 단계
3.2. 고착된 이유 3가지
4. 고착 상태 극복을 위한 노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평생에 걸쳐 다양한 발달 과정을 경험한다. 이러한 발달 과정 속에서 개인의 성격과 행동 특성이 형성되는데, 이를 설명하기 위해 프로이트는 심리성적발달단계 이론을 제시하였다. 심리성적발달단계 이론은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총 5단계에 걸쳐 성격 형성이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각 단계에서 리비도의 집중 부위와 충동 및 욕구의 해소 방식에 따라 개인의 성격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 단계에서 욕구가 과도하게 충족되거나 결핍될 경우 고착 현상이 발생하여 부적응적인 성격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프로이트의 심리성적발달단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개인적으로 고착되었다고 생각되는 단계와 그 이유,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심리성적발달단계 이론
2.1. 구강기
구강기는 유아의 출생부터 18개월까지의 시기로, 입 주변을 통해 만족감을 느끼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유아는 주로 입 주변을 통해 만족감을 느끼며, 생존을 위해 타인에게 전적으로 의존한다. 구강기에 신체적, 정신적으로 욕구에 결핍이 생기게 될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보살핌에 대한 갈망을 경험하고, 타인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된다. 손가락 빨기, 과식, 손톱깨물기, 음식에 대한 지나친 집착, 불안적, 낙천적인 성격 또한 구강기 고착 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다.
구강수동적 성향과 구강공격적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은 타인 수용이 쉽지 않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인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자기중심적 태도를 보이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훈련과 자기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그리하여 타인과의 소통에서 공감과 배려를 우선시하며, 가족에 대한 의존성을 극복하여 자립심과 독립심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2.2. 항문기
항문기는 아동이 1~3세까지 경험하는 시기로, 이 시기에 아동은 대소변 배출과 관련된 자극을 통해 만족을 경험하게 된다. 에너지의 초점이 구강 영역에서 항문 영역으로 옮겨가며, 아이들은 배변 활동을 통해 자신의 몸의 기능과 통제에 대해 배우게 된다. 이를 통해 아동은 본인의 성격적 특성을 발전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자기 통제, 사회적 행...
참고 자료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상담이론과 실제 강의교안』,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2024
최경숙, 『아동발달심리학』, 교문사, 2006.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1.
정옥분,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학지사, 2011.
김근영, 네이버 지식백과 심리학 용어사전, 심리성적발달단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162&cid=41991&categoryId=41991
권석만(2012).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학지사.
서혜석(2020). 상담이론과 실제. 아카데미아.
이천영(2020).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강상경(202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프로이트의 발달 이론-심리성적발달 5단계>, https://think-sis.co.kr/28
그림1>,https://kangsunseng.tistory.com/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