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양고대철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자아정체성에 대하여
2. 본론
2.1. 밀란 쿤데라의 『불멸』에 나오는 자아정체성
2.2. 영화 '공각기동대'에 나오는 자아정체성
2.3.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 나오는 자아정체성
3. 결론
3.1. 내가 생각하는 자아정체성이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자아정체성에 대하여
자아정체성은 우리가 자신의 존재와 역할, 가치, 인간관계 등에 대한 개인적인 정의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는 삶의 방식을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게 하며, 우리 삶의 동기를 생각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하지만 이는 간단한 과정이 아니다. 자아정체성은 홀로 형성할 수 없고, 삶의 경험과 문화적인 영향을 받아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물이다. 삶의 흐름에 따라 우리가 변화하고 성장함에 따라 자아정체성 변화를 겪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가 나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자아정체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우리 자신을 이해하고, 성장하며,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본론
2.1. 밀란 쿤데라의 『불멸』에 나오는 자아정체성
사람은 많되 몸짓은 별로 없다.
우리는 자아정체성을 성립하는데 타인의 시선을 배제하고선 말할 수 없다.
내 스스로 자아를 성립하는 것은 모호하고 어려운 과정이지만, 타인에게 비춰지는 나를 설명하는 것은 비교적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타인에게서 만들어진 이미지를 전적으로 옹호하는 것은 아니다.
아녜스는 자신의 순수한 본질에 도달하기 위해 자신의 자아에서 외적인 것과 빌려온 것을 모두 빼는 '빼기' 전략을 사용한다.
로라는 자아란 온전히 신체와 동일시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외모를 꾸미고, 자아의 연장...
참고 자료
조나단 반즈 지음, 문계석 옮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서광사, 1989, 169쪽
밀란쿤데라, 『불멸』, 김병욱 옮김, 민음사, 2013
헤르만헤세, 『데미안』,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00
정용환.(2019).기계 속의 영혼 : 밀란 쿤데라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불멸』에 나타난 개인정체성의 문제.비교문학,(77),119-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