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선택적 함구증에 대한 특징과 원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선택적 함구증의 정의와 특성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본론
2.1. 선택적 함구증의 진단기준 및 임상적 특징
2.1.1. DSM-5 진단기준
2.1.2. 언어·사회적 의사소통 상의 어려움
2.2. 선택적 함구증의 원인
2.2.1. 유전적 요인
2.2.2. 심리적 요인
2.2.3. 환경적 요인
2.3. 선택적 함구증의 발생 및 경과
2.3.1. 유병률과 성차
2.3.2. 발병 시기 및 장기화 가능성
2.4. 선택적 함구증의 치료
2.4.1. 약물치료
2.4.2. 행동치료
2.4.3. 통합적 치료 접근
2.5. 선택적 함구증에 대한 오해와 방치 시 문제점
2.5.1. 오해 바로잡기
2.5.2. 방치 시 발생 가능한 문제
2.6.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부모를 위한 조언
2.6.1. 말하기 연습 방법
2.6.2. 아동에 대한 대응 자세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선택적 함구증 관리를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선택적 함구증의 정의와 특성
선택적 함구증은 발성 및 발음 기관의 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상황이나 사람 앞에서 말하지 않는 아동기 불안 장애의 일종이다. 즉,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잘 하는 아동이 말을 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증상이 학업이나 직업적 성취, 사회적 의사소통을 방해하며, 적어도 1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증상의 원인이 단순히 언어에 대한 지식 부족이나 익숙하지 않아서가 아니어야 한다.
선택적 함구증 아동은 학교나 공공장소 등에서는 말을 하지 않지만, 집에서는 자유롭게 말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종종 수줍어하고, 불안해하며, 고집스럽고, 의존적이며, 화를 잘 내는 등의 특성을 보인다. 또한 간혹 자신의 목소리가 남들에게 이상하게 들릴 것 같은 생각에 불안과 공포심을 갖기도 한다.
선택적 함구증의 유병률은 1% 미만으로 매우 낮은 편이며, 주로 5세 이전에 발병하지만 진단은 8세 경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여아에게서 발병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선택적 함구증은 정상적인 발달과정에 있는 아동이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 말을 하지 못하는 증상이다. 이 증상은 주로 학령기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언어발달이나 지적 능력에는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대상이나 환경에서 말을 하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적 함구증은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학업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선택적 함구증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증상이 장기화되거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부모들이 아동의 증상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적절한 대응과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부모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택적 함구증의 진단 기준, 원인, 치료 방법, 그리고 부모의 역할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선택적 함구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2. 본론
2.1. 선택적 함구증의 진단기준 및 임상적 특징
2.1.1. DSM-5 진단기준
DSM-5(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에 나타난 선택적 함구증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A.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을 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예, 학교)에서 일관되게 말을 하지 않는다"".
B. 장애가 학습이나 직업상의 성취 혹은 사회적 소통을 방해한다""
C. 이러한 중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된다(학교생활의 첫 1개월에만 국한되지 않는 경우)""
D. 사회적 상황에서 필요한 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언어가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E. 장애가 의사소통장애(예, 아동기 발병 유창성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조현병 또는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2.1.2. 언어·사회적 의사소통 상의 어려움
선택적 함구증 아동은 언어·사회적 의사소통 상에 어려움을 겪는다""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경우 언어능력이나 발달에는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 말하는 것을 거부하거나 회피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대화에 참여하지 않으며, 필요 시 말로 표현하지 않고 제스처나 몸짓, 응시 등의 비언어적 수단을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또한 학교 수업시간에 발표나 대화에 참여하지 않고, 교사의 질문에 답변하지 않는 등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2.2. 선택적 함구증의 원인
2.2.1. 유전적 요인
선택적 함구증의 원인 중 하나는 유전적 요인이다. 아동의 억압적 기질(Inhibited temperament)이 선택적 함구증의 발병에 기여할 수 있다.
억압적 기질이란 낯선 상황이나 사람에 대해 수줍어하고 주뼛거리며 두려워하는 기질적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질의 아동들은 도움이 필요할 때에도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워하고, 부정적 표현이나 싫다는 의사를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참고 자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6회 , 채널A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53회 , 채널A
한주희, 우리 아이가 말을 안해요, 정신의학신문, 2016.07.01.
김치중, 집에선 수다 학교선 침묵… ‘선택적 함구증’ 의심해봐야, 한국일보, 2017.09.18
https://www.maum-sopoong.or.kr/ :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
https://risley.tistory.com/96 : 리슬리의 꿈동산 - 선택적 함구증 / 원인 및 해결방안
https://kerneler.tistory.com/28 : 선택적 함구증의 개입1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hs651104&logNo=220910406671 : 선택적 함구증의 개입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