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아특수교육과정의 모형에 대해 설명하고 표준보육과정, 누리과정을 토대로 하여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유아특수교육과정의 모형
2.1. 발달적 교육과정 모형
2.2. 발달적-인지 교육과정 모형
2.3. 학문기술 중심 교육과정 모형
2.4. 행동주의 교육과정 모형
2.5. 기능적 교육과정 모형
3. 표준보육과정, 누리과정을 토대로 한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
3.1. 공통점
3.2. 차이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유아기는 인간의 발달시기 중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유아의 정신적, 신체적 성장과 발달을 도와줌으로써 유아들의 잠재능력과 소질을 신장시키고 발휘하는 것이 유아교육의 목적이다. 유아교육은 평생교육의 일환이자 인생의 기초와 터전을 튼튼하고 바르게 다지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은 그 자체로서 목적이 되어야 한다. 한편 유아특수교육은 장애를 가졌거나 장애를 가질 위험성이 있는 영유아와 그 가족의 독특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과학적, 교육적, 치료적, 심리적, 사회적 노력을 의미한다. 유아특수교육은 예방교육, 유아특수교육, 학령기교육 및 학령기 이후의 재활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이다.
2. 유아특수교육과정의 모형
2.1. 발달적 교육과정 모형
발달적 교육과정 모형은 정상적인 유아발달 이론(Gesell & Amatruda, 1947)에 근거하며, 발달진단 및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는 적응발달(자조 및 일상생활 기술), 신체발달(큰 운동 및 작은 운동), 사회정서발달, 의사소통발달(표현 및 이해언어)의 5개 영역 발달의 신장을 목표로 한다. 물리적,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교육 활동과 교수전략으로는 유아가 발달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에 유아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사용된다. 이 모형에서는 유아의 정상발달 순서에 초점을 맞추어 생활연령에 비해 발달기능이 많이 뒤쳐질 때 발달지체로 판별되며, 문제가 있는 영역의 중재에 교육의 목적성을 두게 된다. 다만, 교육활동과 일상일과에 참여 시에 필요한 기술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어서 중증장애나 중복장애가 있는 유아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2.2. 발달적-인지 교육과정 모형
Piaget의 이론에 근거를 둔 발달적-인지 교육과정 모형은 유아의 인지발달이 유아의 심리 성장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며,...
참고 자료
방인옥 외(2012).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양윤형(2016). 장애영아 특수교육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정애(2008).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실행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원옥 외(2016). 장애아 보육교사가 경험한 장애영아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부, 보건복지부(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경기도교육청(2013), 영유아 특수교육길잡이
교육과학기술부(2009),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
조광순(2000). 특수아 조기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이론적 배경, 특수아 조기교육 최상의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조광순(2001), 국내 장애 영유아 조기교육 그 질적 향상을 위한 과제, 현장특수교육 2001년 1,2월호
조현정(2002), 유아특수학교 교육과정 내용 분석 –5개 생활영역 중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장미애(2018), 유아특수교사의 장애영아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표준보육과정 수정·적용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Bailey, D., & Wolery, M.(1984), Teaching infants and prschoolers with handicaps, Columbus, OH : Merrill
Rainforth, B., York, J., & MacDonald, C.(1992), Collaborative team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Baltimore :Paul H. Brookes.
http://contents.kocw.or.kr/document/lec/2011_2/sungseo/01/Cho_07.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