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으)ㄴ데/는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의미 기능 분류
2.2. 배경·상황
2.3. 설명
2.4. 이유
2.5. 대조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의미 기능 분류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연결어미는 문법적 특성이 다양하고 복잡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어려운 문법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의미 기능 분류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어학, 한국어 교육,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 '-(으)ㄴ/는데'의 의미 기능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대립 또는 대조', '배경', '상황', '설명', '이유 또는 근거'로 분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일곱 개의 예문을 '배경·상황', '설명', '이유', '대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다양한 의미 기능과 그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본론
2.1.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의미 기능 분류
'-(으)ㄴ/는데'의 의미 기능 분류
'-(으)ㄴ/는데'는 다양한 의미 기능을 나타낸다. 연결어미로서 '-(으)ㄴ/는데'는 선행절과 후행절을 관련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의미 기능은 '배경·상황', '설명', '이유', '대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배경·상황'의 '-(으)ㄴ/는데'에서 선행절은 후행절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의 배경 또는 상황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공부를 하는데 전화가 왔어요."와 "지하철을 탔는데 친구를 만났어요."가 이에 해당한다. 이처럼 선행절이 후행절에 대한 배경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설명'...
참고 자료
박지현(1996),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통사적 특징,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커뮤니케이션북스.
백봉자(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소현(2012), 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호경(2015), 외국인 학습자의 연결어미 ‘-는데’ 사용 오류에 대한 연구-이유의 의미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승희(2015), 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교육 방안 연구, 동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수연. "한국어 문법교육에서의 연결어미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