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을 활용한 학생 개별 맞춤형 지도 방안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인공지능을 활용한 학생 개별 맞춤형 지도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인공지능(AI)기술의 교육적 활용 현황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학생 개별 맞춤형 지도 방안
2.1. 온라인 영양교육 활성화
2.2.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영양교육의 실현
2.3. 맞춤형 영양교육

3. 인공지능(AI) 활용 교육의 효과와 한계
3.1. '평등한 배움의 권리'를 위한 AI 활용
3.2. AI로 보완 가능한 교육 분야의 취약점

4. 결론
4.1. 연구 요약 및 시사점
4.2. AI 활용 교육의 발전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인공지능(AI)기술의 교육적 활용 현황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에듀테크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에듀테크는 교육과 기술의 합성어로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강현실, 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하는 교육 서비스, 교육용 소프트웨어, 어플 등을 총칭한다. 에듀테크가 실현될 수 있게 되면서 교실에서는 여러 가지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변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학생은 자신의 역량과 학습 속도에 맞는 맞춤 학습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고, 교사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생을 지도할 수 있게 될 것이며, 학부모는 학생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자녀를 교육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변화는 영양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에듀테크는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학습자 개인의 수요와 학습 수준에 맞춰 맞춤형 교육을 지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 결손을 줄이고 교육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양교육은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지지만 특히 균형 잡힌 식습관과 영양소의 이해는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 학생들이 균형 잡힌 식습관을 이해하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게 하도록 가능한 한 많은 학생들이 영양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러닝은 누구나 손쉽게 영양교육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므로 영양에 대한 지식과 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을 대폭 확대해서 학생들이 두루 영양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공교육에 도입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똑똑 수학탐험대'는 학생이 게임을 즐기듯 문제를 풀면, 프로그램이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에게 맞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해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 교과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개념 비대면 온라인 학습 어플리케이션 '콴다(Quanda)'는 학습자가 스마트폰으로 모르는 문제를 촬영하면, 인공지능(AI)이 약 5초 안에 문제 풀이와 관련유형, 개념 영상 등 맞춤형 콘텐츠를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콴다'는 광학문자인식(OCR)기술과 자연어처리(NLP)를 접목해 개발되었으며, 수학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여 학습자에게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다. '콴다'는 특히 교육 인프라가 열악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공지능(AI) 기술의 교육적 활용이 활발해지면서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학생 개개인의 역량과 학습 수준에 맞춘 맞춤형 학습이 가능해짐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동기 및 흥미를 높이고 학습 결손을 줄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학습 부진 학생들을 위한 개별화 교육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학생 개별 맞춤형 지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교육에서의 격차를 해소하고 '평등한 배움의 권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또한 AI가 교육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학생 개별 맞춤형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AI 활용 교육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2.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학생 개별 맞춤형 지도 방안
2.1. 온라인 영양교육 활성화

에듀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참고 자료

이숙연. (2023). 인공지능 관련 규범 수립의 국내외 현황과 과제. 법조, 72(1), 442-488.
에듀프레스, [박남기의 AI시대 교육법 ⑰] ChatGPT 사용 시 유의할 점, 2023.02.28.자 기사,
한국대학신문, [시론] ChatGPT가 대학 교육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2023.02.12.자 기사,
윤혜리, 권지영, [학술대회 특집] 영양교사 직무연수- 에듀테크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영양교육, 2022.7.26. 영양사신문
권지영, 설아영, [학술대회 특집] 교육급식의 정착, 학교급식에서 답을 찾다, 2023.7.24.영양사신문
황여정, 빅데이터 활용해 맞춤 영양 관리... 질병의 발생 늦춘다,2017.8.29.조선일보
<그림1>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515066
<그림2>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100740221
나무위키 인공지능(AI) https://namu.wiki/w/%EC%9D%B8%EA%B3%B5%EC%A7%80%EB%8A%A5
<한국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 - 류미영, 한국인공지능교육학회, 2020.
<초등학교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학교와 학교장의 역할> - 양지혜,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인공지능 시대의 초등학교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와 방향 = Problems and Directions of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Age of AI> - 박주경,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인공지능 교육시스템 기반 초등학교 수학 수업 설계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ystem> - 최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초등 교사를 위한 인공지능교육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 - 고병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인공지능 시대와 초등사회과 교육> - 이현지 저, 출판 : 살림터, 2019.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 정대홍 외 저, 출판 : 교육과학사, 202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