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료의 질 관리
1.1. 질(quality)의 개념
질(quality)이란 "제품이나 서비스가 설정된 기준이나 표준 또는 규격에 얼마나 잘 맞는지에 대한 측정"을 의미한다"".
메이어(Myers)에 따르면 의료의 질이란 보건의료의 의학적 적정성과 보건의료의 사회적 적정성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JTC에 의하면 간호의 질이란 특정 서비스나 절차, 진단 혹은 임상적 문제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된 좋은 실무에 대한 현행 표준과 예상되는 결과의 달성에 부합되는 정도를 말한다"".
즉, 질은 서비스나 제품의 특성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과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서비스의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1.2. 의료의 질 구성요소
의료의 질 구성요소는 효과성(effectiveness), 효율성(efficiency), 기술수준(technical quality), 접근성(accessibility), 가용성(availability), 적정성(optimality), 합법성(legitimacy), 지속성(continuity), 형평성(equity), 이용자 만족도(consumer satisfaction), 수용성(acceptability), 적합성(adequacy) 등 12가지로 구분된다.
효과성(effectiveness)은 건강수준의 향상에 기여한다고 인정된 서비스 결과의 산출정도를 의미한다. 효율성(efficiency)은 특정 건강수준을 획득하는 데 사용한 자원(비용)의 소모정도를 나타낸다. 기술수준(technical quality)은 서비스의 기술적 수준을 의미한다. 접근성(accessibility)은 시간이나 거리 등 요인에 의해 의료서비스 비용에 제한을 받는 정도를 말한다. 가용성(availability)은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의 구비 정도를 나타낸다.
적정성(optimality)은 건강개선과 그 건강 개선에 드는 비용 간의 균형을 의미한다. 합법성(legitimacy)은 윤리 원칙, 규범, 법, 규제 등에서 표현된 사회의 선호도에 대한 순응 정도를 말한다. 지속성(continuity)은 의료서비스의 시간적, 지리적 연결정도와 상관성을 나타낸다. 형평성(equity)은 분배와 혜택의 공정성을 결정하는 원칙에 대한 순응 정도를 의미한다.
이용자 만족도(consumer satisfaction)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판단을 나타낸다. 수용성(acceptability)은 의료의 효과에 대한 환자와 환자가족의 기대 정도를 말한다. 적합성(adequacy)은 대상 인구집단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12가지의 의료의 질 구성요소들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들 요소들이 균형을 이루어야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1.3. 간호의 질 관리 필요성
간호의 질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의 전문적 요인에서 간호의 적절성과 효과성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다. 간호는 전문직으로서 활동하는 영역이므로, 간호사들은 간호의 효과를 평가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간호의 질 관리는 전문직으로서 간호사들이 책임을 지고 수행해야 하는 중요한 과업이다. ""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건강수준과 질병의 구조 변화, 의료 및 간호요구의 변화 등에 따라 소비자 중심의 간호 서비스 제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환자와 보호자들의 양질의 간호를 받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간호의 질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
셋째,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의료기관들은 비용은 절감하면서도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기법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의 질 관리는 비용 절감과 동시에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1.4. 의료의 질 관련 용어
의료의 질 관련 용어로는 질관리(QC), 질 보장(QA), 총체적 질관리(TQM), 질 향상(CQI), 위험관리(RM)가 있다.
질관리(QC)는 질의 일정 수준을 표준으로 선정한 후, 특정 의료서비스가 표준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하고 감시하는 것이다.
질 보장(QA)은 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고 그 문제점을 개선하여 질을 향상시키는 관리 기법이다.
총체적 질관리(TQM)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전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업무과정을 개선해가는 과정이다.
질 향상(CQI)은 과정, 결과, 서비스 전반에 지속적인 향상을 추구하는 질관리 기법으로, 질 향상 추구 시 조직 내 분야별 계층의 전 직원의 참여, 변화와 관리를 강조하며 의료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험관리(RM)는 환자와 직원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실무차원의 통합적인 관리 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이 의료의 질 관련 용어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과 노력을 나타내고 있다.
1.5. 질 관리 도구
간호에서 질 관리 도구는 간호서비스의 질을 관리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사용된다.
흐름도(flow 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