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업무협력과 리더십 발휘 의 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의 필요성
1.1.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협력이 필요한 이유
1.2.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의 중요성
2.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협력 사례
2.1.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협력이 잘 된 사례
2.2.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이 잘 되지 못한 사례
2.3. 보건의료팀 내 협력 관계 강화를 위한 대안 및 해결방안
3.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리더십 발휘 사례
3.1. 리더십 발휘로 인한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 사례
3.2. 조정과 협력의 이론적 배경
3.3. 섬기는 리더십(서번트 리더십)의 중요성
3.4. 간호사의 리더십과 역할
4.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에 대한 소감
4.1. 과제를 수행하며 느낀 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의 필요성
1.1.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협력이 필요한 이유
현대의 보건의료는 병원 내 환자의 중증도와 지역사회 환자의 의료 및 간호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추세이며, 소비자의 권리의식이 증진되고 의료인 단독 형태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의료인, 보건의료인이 팀을 이루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의료서비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제공자 중심 케어 서비스에서 환자 중심 케어 서비스로 바뀌며 환자를 더욱 더 다학제적 접근 방식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다양한 부서, 전문 인력 간의 효과적인 연계 및 상호작용을 하는 '조정'과 협력을 통해 질 높은 의료행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생명, 건강, 안전 결과를 최선으로 성취할 수 있다. 보건의료팀은 '환자의 생명, 건강, 안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보건의료팀은 다양한 전문 인력들이 협력하여 업무를 진행하는 전문조직집단이다. 의사, 간호사, 약사, 임상병리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 여러 분야의 전문직들이 팀을 이루어 일을 하다 보니 역할 갈등 혹은 기능의 혼선,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팀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한다.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 가장 큰 문제점은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환자에게로 영향을 미쳐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의료과오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진료가 이루어지는 모든 임상 현장에서 환자가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퇴원할 때까지의 과정 속에서, 가벼운 실수 혹은 오류, 적신호사건 및 심각한 사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건의료팀은 상호 의존성이 높은 조직으로써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이를 위한 협력이 중요하다.
1.2.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의 중요성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팀은 의사, 간호사, 약사, 임상병리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 다양한 전문 인력들이 협력하여 업무를 진행하는 전문조직집단이다. 이들은 각자의 교육 배경과 직종이 다양하여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강하고 경쟁적 갈등이 초래되기 쉽다. 그러나 환자 진료와 치료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어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 간의 효과적인 연계 및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은 필수불가결하다.
둘째, 보건의료팀 내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의료 서비스 조정을 통해 질 높은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건의료팀 내 협력이 이루어지면 중복되는 노력을 방지하고, 제공자 중심 서비스에서 환자 중심 서비스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안전사고 및 의료과오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환자의 생명, 건강, 안전 증진에 도움이 된다.
셋째, 보건의료 체계나 지역사회에서 책임과 책무를 나누고 이를 통합하여 궁극적으로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건강 형평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최근 보건의료팀 내 간호사의 역할이 대두되면서 간호사의 협력자, 조정자, 리더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보건의료팀 내 각 구성원들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업무조정과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협력 사례
2.1.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협력이 잘 된 사례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협력이 잘 된 사례를 살펴보면,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의사소통이란 개인 간, 집단이나 조직에서 상급자와 하급자 간 등 서로 간의 정보를 전달하고 정보가 바르게 이해되었는지 알기 위한 수단이며 순환적 과정이다. 따라서 신규간호사 또는 새로 들어온 경력자와 이들을 가르칠 프리셉터 간호사 간의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신규간호사 중 "다 무섭고 그런 건 아닌데요. 특히 약간 좀 생각이 깨어있는 중간층의 선생님들이 좀 계세요. 그래서 항상 힘들 때 그 선생님들이 많이 좀 다독여 주고 좀 많이 얘기도 해주고. 이러한 이러한 일이 있을 때에는 이렇게 이렇게 얘기를 한번 해 봐라. 라고 조언을 해 주시는 선생님들이 계시거든요."라고 한 것처럼, 프리셉터 간호사가 신규간호사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것이 잘 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셉터 간호사 중 "경력자이긴 한데 잠깐 계약직으로 들어와서 일을 하시는 분이 계셨어요. 저보다 나이가 많았고..... 너무나 항상 웃으면서 뭔가 알려주면 "아, 선생님 감사합니다. 다음부터 꼭 그렇게 ...
참고 자료
김인숙 외(2015), 최신 간호관리학 제4판, 현문사
김가희・이병숙(2018),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Nurses’ and Physicians’ Perceptions About Nurse-Physician Collaboration,『인문사회 21(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Vol.9 No.5
정연옥・박성철・진정근・김주영・이지언・박순영・석소현(2014),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 간호사의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during Preceptorship『정신간호학회지,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vol.23, no.2, pp. 82-92 (11 pages)
염영희외(2020), ‘개정 7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수문사
퍼시픽 학술편찬국(2020), ‘2021년 대비 간호관리학 요약집’ 퍼시픽북스
에듀 문항 평가 개발위원회(2020).‘필통 간호학 핵십요약집: 간호관리학’, 에듀팩토리
권의옥 외(2019), 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5권 3호
박혜선(2010). 이제는 팀의료 시대! [200호 특집]. 한국의약통신.
www.km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88
김가희, 이병숙. (2018).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 (사)아시아문화학술원
김종래. (2009).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서울
박은숙(2001), 보건 간호사의 건강증진사업 수행 현황과 역할 확대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한국 간호 과학회.
염영희 외11인 공저(2020). 학습 성과 기반 간호관리학, 경기, 수문사.
윤혜상 외(2009).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청구문화사: 서울.
이병주, 김명언. (2012). “의사와 간호사 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유형, 원인 및 비대칭성.”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 25, No. 1, 1-2
이영주. (2016). 병원간호사의 간호사 및 의사와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의료 오류 경험, 직무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은주(Eun Ju Lim),and 이여진(Yeo Jin Yi). (2014).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20.3: 313-321.
장금성 외(2012), 간호 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정면숙 외7인 공저(2016).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서울, 현문사.
정연숙 외(2016). 간호관리학. 현문사: 서울. 퍼시픽 학술편찬국. (2020). NURSING MANAGEMENT. Pacific Book
한금선 외 (2014). 제3판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고문사: 서울.
홍영주. (2009). "의료진간 효율적 의사소통을 위한 활동." 가을학술대회 2009.3: 863-865.
Lisa Kennedy Sheldon(2010). 간호사를 위한 의사소통. 군자출판사: 서울.
네이버 지식백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0037&cid=40942&categoryId=31910. (22. 10. 25)
라포르시안. [갈등시리즈①: 전공의-간호사편] 곪을 대로 곪은 갈등…“우리가 동료라고?”.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832. (22. 10. 25)
한국의약통신. 이제는 ‘팀의료’ 시대! [200호 특집]. 메디컬, https://www.km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88. (22.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