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전문직 종류와 각각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전문직 종류와 역할
1.1. 의사, 간호사, 약사 등 주요 보건의료전문직 소개
1.2. 각 보건의료전문직의 주요 역할과 업무
2. 보건의료전문직 팀 간 협력의 필요성과 방안
2.1. 협력의 정의와 목적
2.2. 팀 간 협력이 필요한 이유
2.3. 효과적인 팀 간 협력을 위한 요건
3. 팀 간 협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 사례
3.1. 지역사회 호스피스 병동 사례
3.2. 사례 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4. 보건의료전문직 팀 간 협력을 위한 개선방안
4.1. 체계적인 의료서비스 조성
4.2. 권역 응급(중증)실 증가 및 시스템 개선
4.3. 의료인 간 의사소통 강화
5. 간호사의 팀 내 조정자 및 협력자 역할
5.1. 간호사의 조정자 및 협력자로서의 중요성
5.2. 간호사-의사 간 협력관계 증진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전문직 종류와 역할
1.1. 의사, 간호사, 약사 등 주요 보건의료전문직 소개
의사는 인간의 질병, 장애, 상해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진찰과 의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치료의 범위와 방향을 정하며, 환자와 개별적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결정한다. 또한 환자가 원하는 수준의 건강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의학적 상담을 제공한다. 치과의사는 치아, 치주조직, 구강조직, 악골, 악관절, 안면 부위 및 이와 연관된 주변 조직의 질병, 장애, 손상, 기형 및 불균형에 대해 의료행위를 수행한다. 한의사는 한방진료를 통한 치료와 보건증진뿐 아니라 창의적인 연구와 인접학문에 대한 지식을 배양하고 협력하여 의학발전에 기여한다.
조산사는 의사의 감독 하에 산모의 분만과 관련된 치료 및 보호를 담당하고 태아의 분만을 준비하며 태아 및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준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를 하고,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 · 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 기획과 수행, 그 밖의 보건활동과 간호조무사의 업무보조에 대한 지도를 한다. 간호조무사는 간호사의 지도하에 간호사의 업무를 보조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약사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의약품을 조제 · 투약하고 약물복용에 대한 복약지도를 하며, 의약품 외에도 의약부외품, 화장품, 의료용구 및 위생용기의 제약·조제·감정·보관·수입·판매 및 기타 약학 기술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한약사는 한약과 한약제제에 관한 약사업무를 담당한다.
보건교사는 학생의 건강상태와 학교의 보건활동 진행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정기적인 건강진단 또는 검사를 실시하고, 응급처치, 가정간호, 질병 및 전염병에 대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을 담당하며 예방접종을 독려한다. 보건진료 전담 공무원은 간단한 의료기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부상 또는 질병상태를 진찰하고 치료하며 의약을 투여하고, 응급환자에 대한 응급처치와 질병이나 부상의 악화방지를 위한 처치, 전염병 예방접종, 공중보건에 관한 주민 지도·상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임상병리사는 병리학·미생물학·생화학·생충학·혈액학·수혈검사학·혈청학·법의학·요화학·세포병리학·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한 가검물 등의 검사 및 생리학적 검사의 분야에서 임상병리검사 업무에 종사한다. 방사선사는 신체 내부기관의 질병, 장애의 진단을 위해 방사선과 관련한 각종 방사선물질과 장비 등을 조작하여 질병의 진단정보를 제공하고 치료 업무를 수행한다.
물리치료사는 온열치료, 전기치료, 광선치료, 수치료, 기계 및 기구치료, 마사지, 기능훈련, 신체교정운동 및 재활훈련과 이에 필요한 기기, 의약품의 사용, 관리 기타 물리요법적 치료업무에 종사한다. 작업치료사는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를 가진 자, 또는 그것이 예측되는 사람들에게 치료적 활동을 통해 독립적인 활동 및 삶의 의미를 찾아주고, 가정과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치료·교육한다.
치과기공사는 치과의사의 보철물 의뢰서에 의해 보철물 또는 교정장치 등을 제작하거나 수리, 가공 및 기타 업무에 종사한다. 치과위생사는 충치의 예방을 위하여 불소도포를 하고, 치아의 홈을 메우며, 스케일링(치면 세마)과 지속적 구강건강관리를 통해 치주질환의 예방과 개개인의 구강건강 유지를 돕는 업무를 한다.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환자들의 기본정보 및 의무기록 자료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질병분류번호, 사인분류번호, 의료행위분류번호, DRG분류번호 등을 부여한다. 또한 전자의무기록 개발, 의료자료보관체계 등 의료정보체계 구축에 참여한다. 안경사는 안경의 조제 및 판매를 주된 업무로 하며, 안경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시력검안 업무를 할 수 있다. 응급구조사는 응급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응급환자에 대하여 상담 · 구조 및 이송업무를 행하며 응급처치를 한다.
1.2. 각 보건의료전문직의 주요 역할과 업무
각 보건의료전문직의 주요 역할과 업무이다.
의사는 인간의 질병, 장애, 상해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진찰과 의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치료의 범위와 방향을 정하며, 환자와 개별적 논의를 통해 구체적 내용을 결정한다. 또한 환자가 원하는 수준의 건강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의학적 상담을 제공한다.
치과의사는 치아, 치주조직, 구강조직, 악골, 악관절, 안면 부위 및 이와 연관된 주변 조직의 질병, 장애, 손상, 기형 및 불균형에 대해 의료행위(평가, 진단, 예방, 치료)를 수행한다.
한의사는 한방진료를 통한 치료와 보건증진뿐 아니라 창의적인 연구와 인접학문에 대한 지식을 배양하고 협력하여 의학발전에 기여한다.
조산사는 의사의 감독 하에 산모의 분만과 관련된 치료 및 보호를 담당하고 태아의 분만을 준비하며 태아 및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준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산후기간 동안에 산모에게 산모 자신과 태아의 보호에 관한 지시를 해주고 산모를 검사하기도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
참고 자료
성기월 외. (2022). 최신 지역사회 보건간호학1. 수문사. 경기도 파주시.
네이버 : 자격증 사전. (2022).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약사, 한약사, 보건교사, 보건진료 전담 공무원,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안경사, 응급구조사. 2023-05-06.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42114&categoryId=42114.
이정우(2014). "간호사는 의사와 어떻게 의사소통하는가?- 간호사의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박은진, 한지영. (2018). 병원 종사자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 보장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권성복, 안화영. (2019). 병원 간호조직 내 간호사의 갈등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2번 사례 : 낭만닥터김사부 시즌2, 9회 트라우마 2020.02.03
3번 사례 : 하얀거탑(2007). 9화. 2007. 02. 02. https://m.cafe.daum.net/ygy2317/8Dzy/206?listURI=%2Fygy2317%2F8Dzy
최규진, 최은경, 김옥주, 김수연, 박재형, 홍정화, & 이기헌. (2008). 의료윤리교육을 위한 동료 의료인 간 갈등에 대한 연구. 생명윤리, 9(2), 17-34.
유미자. (2022). 상급 종합병원 내 의사, 간호사 간 의사소통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산업융합연구 (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20(1), 77-86.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수립된 '제2차 공공보건의료기본계획
보건의료인력지원법(2020.12.29.시행).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01229&lsiSeq=224927#0000
금천구청보건소. 2023.05.27. 가정간호와 방문간호. https://www.geumcheon.go.kr/health/contents.do?key=1392
서문경애 외 공저 (2020). 개정 7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수문사
염영희 외(2017). 개정 6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서울: 수문사
Naver 지식백과 /경향신문, 박효순(2014).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해 헌신하는 의료전문인. 2019031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815&cid=58886&categoryId=58886.
Naver 지식백과 /경향신문, 박효순(2014). 24시간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해 일한다. 2019031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97&cid=58886&categoryId=58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