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무환경 문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무환경 문제이다. 간호사의 만족도가 19년 12월 70점에서 20년 12월 55점으로 낮아져 간호의 질이 저하되고 환자 만족도도 낮아졌다. 직무스트레스 관리는 병원관리자와 간호관리자에게 중요한 관심사로 자리잡아 왔는데, 간호사들이 다른 전문직보다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훨씬 심각하다. 간호사들의 추가 근무시간이 3시간이 넘어 오버타임이 되었고 이직률도 3, 6, 9월에 비해 15%로 크게 증가하여 동료 간호사에게 새로운 스트레스원이 되고 있다. 간호조직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 모색과 병원조직 차원에서 더 안정적인 직무환경 구축, 부서별 원활한 협동업무를 위한 대인관계 구축 방안, 그리고 간접간호활동 지원인력 확보 등 다각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업무효과성과 직무만족도를 향상시켜 간호업무역량과 간호의 질 나아가 의료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1.2. QI 활동의 필요성
QI 활동의 필요성이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무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간호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 간호사의 만족도가 70점에서 55점으로 떨어지고 환자의 만족도도 낮아졌다. 또한 간호사의 이직률이 증가하여 동료 간호사에게 새로운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간호조직에서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다각적인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QI 활동을 통해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간호 역량과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QI 활동은 간호 업무의 표준화와 환자 안전을 도모하여 환자 중심의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QI 활동은 간호사의 전문성 제고와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2. QI 활동 개요
2.1. QI의 정의와 목적
QI(Quality Improvement) 활동은 임상에서 시행하고 있는 간호업무를 업무표준과 규정에 따라 평가함으로써 간호업무의 표준화 및 환자안전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중심의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질 개선활동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효과성, 효율성, 접근성, 가용성, 수용성, 적정성, 적합성, 형평성, 지속성, 이용자 만족도, 기술 수준, 쾌적한 환경, 합법성 등 다양한 질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대처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QI 활동은 조직의 장기적인 목표에 대하여 지속적인 질 향상을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전체 조직 구성원이 참여하여 조직문화, 서비스, 상품, 업무프로세스 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2. QI 활동 방법론
2.2.1. FOCUS-PDCA
Find(문제발견)
문제를 발견하고자 한다는 것은 개선이 필요한 과정을 찾아내는 것이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무환경 문제, 그리고 QI 활동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개선이 필요한 과정을 찾아낼 수 있다.
Organize(팀 조직)
해당 과정과 관련있는 직원들로 팀을 구성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을 도모한다.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개선을 위해서는 외과중환자병실 수간호사, 외과중환자병실 간호사, 중증외상팀, 교육수련실 팀, QI 부서 직원들로 팀을 구성할 수 있다.
Clarify(현황파악)
현재 과정에 대한 지식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무환경 문제, 그리고 QI 활동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또한 간호사의 만족도 하락, 환자 만족도 저하, 이직률 증가, 근무시간 증가 등의 문제 현황을 명확히 한다.
Understand(원인분석)
문제의 발생 원인을 이해하고자 한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증가, 간호인력 부족, 복잡한 중환자 관리, 상사 및 동료로부터의 인정 부족 등이 문제의 원인으로 파악된다. 이를 통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명확히 할 수 있다.
Select(개선전략 선택)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 전략을 선택한다. 심폐소생술 및 인공기도삽관 교육, 다빈도 질환 컨퍼런스, 인정 및 감사 편지 작성, 긍정적 피드백 제공, 프리셉터-프리셉티 힐링데이 등의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 심리적 지지, 근무환경 개선 등을 도모할 수 있다.
Plan(계획수립)
선택한 개선 전략을 바탕으로 QI 활동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개선목표, 시간계획, 담당자 배정, 필요 자원 등을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예를 들어 간호사의 만족도 90점 이상 증가, 환자 만족도 80점 이상 증가, 간호사 이직률 5% 이하 감소, 추가 근무시간 1시간 이하 감소 등을 목표로 설정할 수 있다.
Do(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