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성과의 가시화 서평의 개요
성과의 가시화는 개인과 조직이 업무 수행 과정에서 겪는 난제들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이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과의 가시화에 필수적인 핵심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명쾌함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장현물 전략을 제안한다. 현장경험을 통한 관찰, 언어화를 거쳐 스토리텔링으로 성과를 전달하는 3단계 프로세스를 강조한다. 또한 1,000개의 현장 노트 작성의 의미와 실행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한편 성과 가시화의 한계와 고려사항으로 샐러리맨과 컨설턴트의 직무 특성 차이, 지식정보화 시대의 소통 어려움, 전달력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성과 가시화를 위한 핵심 요소를 정리하고, 실제 업무에서의 적용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저자는 현장경험과 데이터 축적을 통한 성과의 가시화가 개인과 조직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1.2. 책의 주제와 저자 소개
'성과의 가시화'는 엔도 이사오 저자가 쓴 저서로, 저자는 26년간 컨설턴트로 활약하면서 현장경험을 통해 성과 가시화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저자는 제조회사에서 협력회사 관리를 10년 경험한 뒤 보스턴 컨설팅 그룹에 입사하여 컨설턴트로 전직하였다. 저자는 당시 천재적인 동료들 속에서 치열한 경쟁을 겪으며 자신만의 성과 가시화 전략을 구축하게 되었는데, 이를 통해 명쾌함을 얻고자 했다. 저자의 현장현물 전략은 관찰, 언어, 스토리라는 3가지 힘의 단련을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1,000개의 현장 노트를 작성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러한 현장 경험과 학습을 통해 저자는 성과 가시화의 핵심요소와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지식정보화 시대에 성과 전달력의 중요성과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을 지적하며, 샐러리맨과 컨설턴트의 직무 특성 차이에 주목한다. 저자는 성과 가시화를 위한 핵심 요소를 정리하고, 실제 업무 현장에서의 적용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요약하면, 이 책은 성과 관리의 실천적인 노하우를 전달하고자 하는 저자의 경험과 통찰을 담고 있다.
2. 성과의 가시화에 대한 분석
2.1. 명쾌함의 의미와 중요성
명쾌함의 의미와 중요성이다. 직장인의 목표는 명쾌함이다. 개인적으로 보기에 명쾌함이란 자기만의 가설과 검증의 사고방식이다. 자기 발에 맞는 신발을 신고 자기만의 어떤 결론을 가지고 주변사람들과 시장의 힘든 검증을 견뎌낸다. 그 결론이 죽지 않고 견뎌내면 이기는 것이다. 과거가 기묘한 정치인이 시끄러운 청문회 기간을 통과하면 힘든 만큼 당당해 질 수 있다. 마치 번지점프를 성공해낸 성년기의 소년처럼 말이다.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이 명쾌함이고 그 명쾌함을 무기로 자신이 생각해낸 일을 하는 것이 직장인의 로망이다. 사과나무는 말라 죽는 것이 아니라 사과를 맺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물론 명쾌한 아이디어가 모든 사람에게 칭찬을 받긴 어렵겠지만 대다수에게 우려 섞인 목소리를 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저자는 제조회사에서 협력회사 관리를 10년 하고 보스턴 컨설팅 그룹의 컨설턴트로 전직한다. 26년간 컨설턴트로 활약하고 있으면서 학교에서 강의를 겸하고 있다. 전직 후 처음에 천재 같은 동료들에게 치여서 이 면도날 같은 조직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연구했다. 고민에 빠진 그에게 당시 사장이 큰 깨우침을 주었다. 자신이 BCG에서 목표로 한 것이 자신만의 명쾌함이었고 그 명쾌함을 위하여 현장현물 전략을 구사하기로 했다.
2.2. 현장현물 전략의 핵심 요소
현장현물은 명쾌함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저자는 현장현물 전략의 핵심 요소로 느끼는 힘, 생각하는 힘, 전달하는 힘을 제시한다. 먼저, 느끼는 힘의 단련을 위해 구멍이 뚫릴 만큼의 '관찰'이 필요하다. 관찰을 통해 현장의 다양한 정보와 단서를 주목하고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