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p 실패사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5.05.24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4p 실패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롯데리아 기업의 밀리터리버거 제품 4P 전략 실패사례
1.1. 선정 이유
1.2. 제품 전략: 둘이서 만들어 먹는 밀리터리버거
1.3. 가격 전략: 군대의 물가를 반영하지 않은 비싼 버거
1.4. 유통 전략: 전국의 롯데리아에 유통
1.5. 촉진 전략: 광고 모델 이미지 실추와 기억하기 싫은 군대
1.6. 시장에서 외면받은 이유
1.7. 본인 생각

2. 오뚜기 기업의 미역초비빔면 제품 4P 전략 실패사례
2.1. 선정 이유
2.2. 제품전략
2.3. 가격전략
2.4. 유통전략
2.5. 촉진 전략
2.6. 시장에서 외면받은 이유(4P 관점에서)
2.7. 본인생각

3. 공학과경영 마케팅전략 4p 실패사례
3.1. 서론
3.2. 본론
3.2.1. 4P 전략이란
3.2.2. 갤럭시 S20의 전략 및 실패 이유
3.2.2.1. 가격
3.2.2.2. 제품
3.2.2.3. 유통
3.2.2.4. 촉진
3.3. 본인의 의견 및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롯데리아 기업의 밀리터리버거 제품 4P 전략 실패사례
1.1. 선정 이유

흔히들 롯데리아는 양념감자와 아이스크림을 먹으러 간다고 입소문이 날 정도로 버거 업계에서 외면받고 있다. 롯데리아는 다양한 버거를 출시하고 성공하고 실패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3년내의 사례 중에서 기존에 군대에서 먹던 군대리아를 리메이크하여 신메뉴 개발에 큰 힘을 들이지 않았지만 비싼 가격과 맛없는 맛으로 혹평을 받았던 밀리터리버거를 4P 전략 실패사례로 선정하였다.


1.2. 제품 전략: 둘이서 만들어 먹는 밀리터리버거

롯데GRS 관계자에 따르면, 밀리터리버거는 남성 고객에게는 군 생활 경험의 '추억'을 제공하고 여성 고객에게는 만들어 먹는 '재미'를 제공하고자 신제품으로 출시되었다. 롯데리아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둘이서 만들어 먹는 밀리터리버거로 신제품을 소개하였다. 버거 소개 포스터에는 계급별 또는 여자친구의 입장에서 각각 레시피를 추천하였다. 예를 들어, 면회 온 여자친구와 둘이 먹는 레시피와 병장의 이등병 사랑 레시피를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 버거 업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군대에서만 존재하던 군대리아를 활용한 아이디어였다. 군대리아는 군대에서 먹었던 사람들의 향수와 군대를 가지 않아 군대리아를 접해보지 않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사로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가장 중요한 맛 면에서 혹평을 받았고, 직접 만들어 먹는 밀리터리 버거는 재료와 양이 빈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추억은 추억일 뿐 시중의 다양한 버거를 접해본 소비자들에게는 군대리아의 맛이 좋게 느껴지지 않았다.


1.3. 가격 전략: 군대의 물가를 반영하지 않은 비싼 버거

롯데리아에서는 밀리터리 버거를 버거 단품 6400원, 세트 8100원(포테이토, 콜라)으로 측정하였다. 군대 px의 물가를 생각하면 다소 비싼 감이 있다. 심지어 밀리터리 버거 출시 직전에 내리막길을 걷던 롯데리아가 반등을 하려고 회심 차게 출시한 폴더버거의 세트 가격이 7500원이었다. 버거 번 2개, 패티 1장, 슬라이스 햄 1장, 양배추샐러드, 오이피클, 마카로니, 딸기잼, 불고기 버거 소스, 체다치즈 1장이 구성품인 롯데리아의 밀리터리 버거 가격은 소비자들에게 비합리적으로 다가왔다.


1.4. 유통 전략: 전국의 롯데리아에 유통

밀리터리버거는 롯데리아 제품이기 때문에 전국의 모든 롯데리아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다. 즉, 전국적인 유통망을 통해 제품을 보급할 수 있었다. 이는 제품의 성장에 밑바탕이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1.5. 촉진 전략: 광고 모델 이미지 실추와 기억하기 싫은 군대

광고 모델 이미지 실추와 기억하기 싫은 군대이다. 밀리터리버거의 광고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밀리터리 버거 출시 당시 한창 가짜사나이라는 프로그램이 폭발적인 조회수를 기록하며 군대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높아져 있었다. 게다가 프로그램에서 굉장한 주목을 받고 있는 이근 대위를 광고모델로 쓰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때마침 불행히도 이근 대위의 개인적인 빚투, 성범죄 논란으로 롯데리아는 찍은 광고를 급히 내릴 수밖에 없었다. 광고 모델의 이미지 실추는 흔히 발생하는 해프닝이지만 롯데리아의 이미지에도 타격을 주었다. 또한 군대에서의 추억을 회상하라는 의도는 일부 소비자들에게는 다시는 겪기 싫은 기억이기 때문에 외면 받았다.


1.6. 시장에서 외면받은 이유

밀리터리버거는 유통면(place)에서는 문제가 될 일이 없었다. 그러나 제품면(product)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버거들에 비하여 부족했다. 버거의 맛은 뒤떨어졌고 재료는 단촐하고 양이 적었다. 더불어서 가격면(price)에서는 부족한 맛과 재료에 비해서 가격조차 비싸게 다가왔다. 군대의 물가와 동떨어지고 기존의 롯데리아 버거들과 비교해도 비싼 가격이었다. 마지막으로 촉진면(promotion)에서는 예상치 못한 광고 모델 이근 대위의 이미지 실추가 있었다. 가짜 사나이는 당시 가장 핫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막강한 조회수가 나오는 프로그램이었다. 덕분에 군대의 이미지가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왔지만 광고 모델로 채택한 가짜 사나이의 이근 대위가 버거의 출시 당시 빚투와 성범죄 논란에 휩싸여서 광고를 내릴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제품자체가 군대리아라는 호불호가 갈리는 제품이기 때문에 군대의 기억을 떠올리기 싫은 일부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했다.


1.7. 본인 생각

롯데리아 기업이 출시한 밀리터리버거는 군대 경험자...


참고 자료

파이낸셜뉴스 2020.09.28. 조지민기자
롯데리아, 밀리터리버거 출시...이근 대위 모델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롯데리아 공식홈페이지
신제품 | 롯데리아 (lotteria.c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61402101132060001&ref=naver
너무 뻔한 맛? ‘흥행실패’ 미역비빔면 남 좋은 일만…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603000284#a
‘미역비빔면’ 반응 미지근하네~
강희태, (2004). 4P관점에서 본 온라인 기업의 유형별 마케팅 전략,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장시원, (2014). 소셜커머스 환경에서 마케팅믹스(4P)요인의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헤럴드경제, 2020.09.28. “124만원→68만원→0원…갤S20 “공짜폰으로 팝니다 ㅠㅠ”
아시아경제, 2020.04.06. “갤럭시S20 출시 한 달, 부진한 성적표…기대 못 미쳐”
ZDNet Korea, 2016.04.29. “'엎치락 뒤치락' 삼성 vs 애플 스마트폰 경쟁史”
위키리스크한국, 2020.02.28. “갤럭시S20 울트라 '품귀' 현상 심화... 이통사들 사전
예약 기간 연장, 소비자들은 '발동동'”
한국경제, 2020.03.25. “美시장 갤럭시S20 출시 3주만에 '파격할인'…"코로나쇼크 극복 안간힘"”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