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p LAR

  • 1
  • 2
  • 3
  • 4
  • 5
>

상세정보

소개글

"lap LAR"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상자 기초자료 수집

3. 신체검진

4. 대상자 질병 case study

5. 진단적 검사

6. 대상자의 약물요법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장암은 전세계적으로 급격하게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암 질환이다. 한국의 경우 남성의 대장암 발병률이 세계 4위, 여성의 발병률도 세계 19위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암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대장암 환자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대장암 환자 중 직장암 환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의 심각한 손상을 경험하게 된다. 저위전방절제술은 직장암 치료의 표준 술식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이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수술 후 배변 기능 장애를 겪게 된다. 이는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간호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위전방절제술을 받은 직장암 환자의 불안, 우울, 배변 기능 장애,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대상자 기초자료 수집

대상자 김00은 64세 남성이며, 2024년 1월 31일 지속되는 혈변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전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다. 검사 결과 십이지장염(EGD),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직장 내 궤양성 종양(CVS) 소견이 도출되어 추가 검사를 위해 2월 13일 외래를 통해 국립암센터(NCC)에 방문하게 되었다. 대장암 병기 평가 목적으로 진행한 추가 검사(w/u)에서 직장구불결장 암(r/o S-colon Ca staging w/u), 대장내시경 검사상 직장암(CVS, sigmoid colon cancer), 복부 CT 검사 상 직장구불결장 부위 약 1.7cm 크기의 조영증강 병변(A-CT, about 1.7cm enhancing lesion in R-S colon)이 확인되어 T3N2 3기 직장암(sigmoid colon cancer) 진단을 받았다. 이후 3월 14일 저위전방절제술(LAR OP) 실시를 위해 3월 12일 입원하였다. 기저질환으로 고혈압이 있으며 아스피린과 확인되지 않은 중국산 약물을 복용 중이었다. 가족력, 알레르기, 흡연력은 없었다.

입원 시 활력징후는 혈압 155/102mmHg, 맥박 75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3℃였으며 특별한 주호소 증상은 없었다. 확인되지 않은 중국산 약물 복용에 대해 중단할 것을 권고하였고, 수술 준비를 위해 유동식 섭취, 하제 투여, 장 준비, ...


참고 자료

이준덕, 김수영. (2023). 비만과 대장암. 대한소화기학회지, 82(2), 63-72.
김덕우(Duck-Woo Kim). (2010). 유전성 대장암. 대한의학유전학회지, 7(1), 24-36.
최창환. (2006). 염증성 장질환에서 소장암과 대장암의 발생 위험도. 대한소화기학회지, 48(1), 58-61.
여말희, 서영준, 함기백. (2006). 염증성 대장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암 기전. 대한내과학회지 (Korean J Med), 70(2), 130-137.
https://www.macmillan.org.uk/cancer-information-and-support/bladder-cancer/staging-and-grading-of-bladder-cancer
성인간호학 (하)
약학정보원
서울아산병원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471-475, 589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직장암”,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22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직장암”,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997
두산백과, “직장암 사진”,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5281
대한대장학문 학회, “저위전방절제술 사진”
http://colonlife.info/story/?mode=view&uid=52&no=29&page=1&search=&search_text=&subid=1
최스미 외(2019),『핵심약리학』, 수문사, 232-233, 239-241, 330, 432, 433, 510, 530-531, 535
이은·김금순 저위전방절제술을 받은 직장암 환자의 불안, 우울, 저위전방절제증후군, 삶의 질과의 관계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1 No. 1, 74-85, 2014.8
정병욱, 손수상, 강중신 EEA Stapler 로 이용한 직장암의 저위전방절제술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29(5), 1985.11, 603-610
황옥남 외(2019년), 성인간호학 하권 제7판, 현문사
이은희 외(2019년),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이강이 외(2018년), 건강사정 현문사
양선희 외(2019년), 기본간호학Ⅰ,Ⅱ 제3판 현문사
박은영 외(2017년),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중보판, 현문사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되는 SIM 통합내과학. 6: 소화기
통계청 www.kostat.go.kr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삼성서울병원 www.samsunghospital.com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