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은 뇌출혈 중 뇌 실질 내 출혈이 발생하여 혈종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뇌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만성 고혈압으로 인한 출혈이 많으며, 편마비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뇌경색보다 빈도는 낮지만 사망률이 높고 신경학적 후유증이 심한 질환이다.
뇌내출혈은 직접적인 외상, 고혈압, 골절,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 뇌종양, 출혈 경향을 보이는 약물 복용, 신장병, 나이, 흡연, 당뇨병, 음주, 운동부족, 비만,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뇌내출혈 환자들은 어지럽거나 두통을 호소하며, 구토를 하기도 한다. 또한 반신 마비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시상출혈의 경우 의식저하가 심하며 통증, 경련 등의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뇌내출혈의 진단은 뇌 CT로 쉽게 할 수 있으며, MRI를 통해 혈종의 병태생리학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는 출혈량과 위치, 발생 시간, 나이, 과거력, 환자의 의식상태, 임상 경과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는데, 보존적 치료는 혈압 조절, 뇌압 조절 및 출혈 방지 등이며, 수술적 치료로는 개두술을 통한 혈종 제거, 혈종이 있는 부위에 도관을 삽입하여 혈종을 녹여내는 방법 등이 있다.
2. 대상자 간호력
2.1. 대상자정보
성별, 연령, 입원경위, 진단명, 수술명
환자는 37세 여성으로 특별한 기저질환은 없었다. 2023년 1월 12일 21시경 갑자기 현기증이 발생하여 타 병원에 내원하였고, 당시 저혈당 소견이 있어 50% 포도당을 투여하였다. 큰 병원에 진료를 받으라는 권유를 받고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뇌 CT 검사 결과 우측 대뇌 반구에 급성 뇌내출혈 소견이 확인되었다. 입원 당일 긴급 수술인 Craniectomy & hematoma evacuation을 시행하였다.
2.2. 입원상태 및 병력
대상자는 만 37세 남성으로 2018년 4월 18일 본원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내원 당시 의식저하 증상을 호소하였으며, 뇌 CT 검사 결과 오른쪽 대뇌 반구에 급성 뇌내출혈(thalamic hemorrhage)이 발견되었다. 이에 동일일 Craniectomy & hematoma evacuation right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5월 10일 hydrocephalus 소견으로 burr hole trephination & extraventricular drainage catheter insertion left 수술을, 5월 29일에는 V-P shunt OP를 시행하였다. 이후에도 고혈압 증상과 Candidemia 등의 합병증이 지속되어 관련 약물 치료와 관리를 받았으며, 2018년 9월 13일부터 10월 7일까지 VRE 감염으로 격리 치료를 받았다. 현재 tracheostomy tube, Levin tube, V-P shunt가 유지 중인 상태이다.대상자의 입원 경로는 본원 응급실이며, 내원 시 이동침대를 이용하였고 가족과 함께 내원하였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BP 160/100 mmHg, P 86회/분, RR 20회/분, T 36.6℃였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과 당뇨 외에 특이사항이 없었으며, 가족력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술력은 2018년 5월 10일 burr hole trephination & extraventricular drainage catheter insertion left, 5월 29일 V-P shunt OP 기록이 있다.
2.3. 사회학적 정보
대상자의 사회학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결혼상태는 기혼이다. 대상자의 직업은 무직이다. 대상자의 교육정도는 고졸이다. 대상자의 종교는 없다. 대상자의 경제 상태는 평균 수준이다. 가족은 배우자, 아들 5명, 딸 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자는 가족과의 관계가 원만하며, 가족들이 협조적이다.
2.4. 신경학적 기능상태
대상자의 신경학적 기능상태를 살펴보면, 의식 수준이 Mental Grade III로 반응이 느리고 지남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동공 반사는 우측 5mm로 고정되어 있고 좌측은 3mm로 반응이 둔화되어 있다. 운동 기능은 양측 상지가 Grade II로 자극에 굴곡 반응을 보이고 양측 하지는 Grade III로 신전 반응을 보인다. 발과 발목에도 강직과 저항이 관찰된다. 전반적으로 대상자는 의식 저하와 함께 운동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는 뇌내출혈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를 통해 대상자의 신경학적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2.5. 건강관련 정보
환자는 수면장애가 없으며 하루 7시간 정도 수면을 취한다. 개인위생 관리가 양호하나 의존적으로 수행한다. 시력장애와 청력장애가 없으며 치아상태도 양호하다. 음주와 흡연 습관은 없다. 약물 복용력도 없다. 배변습관은 하루 한 번 정상이나 변이 묽은 편이다. 식욕의 변화는 없으며 편식도 없다. 전염성 질환으로 VRE에 감염된 상태이다. 호흡기 문제나 알레르기도 없다. 피부상태는 쇄골 아래에 발진이 있으며 부종이나 동통은 없다. 마비나 근육 쇠약은 없다. 낙상 위험이 높은 편이며 욕창 위험도도 중간 정도이다.
2.6. 활력징후변화
대상자의 체온은 36.0°C이다. 맥박은 118회/분으로 정상 범위를 벗어나 있다. 호흡수는 28회/분으로 정상보다 높은 수치를 보인다. 혈압은 134/82mmHg로 나타났다. 산소포화도는 92%로 측정되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 중 맥박과 호흡수가 정상을 벗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