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관련미생물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식품관련미생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식품 관련 미생물의 특성
2.1. 식품 관련 미생물의 분류
2.2.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2.2.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2.2.2. 산소와 미생물
2.2.3. 온도와 미생물
2.2.4. 삼투압과 미생물
2.2.5. 압력과 미생물
2.2.6. pH와 미생물

3. 식품 가공 및 저장에서 미생물 활용
3.1. 유제품 발효에서 미생물 이용
3.2. 발효 육가공품에서 미생물 이용
3.3. 식품 보존을 위한 미생물 활용

4. 식품 산업에서 미생물 활용의 전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식품 관련 미생물은 식품의 생산, 가공, 보존 등 식품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식품 관련 미생물에는 세균, 곰팡이, 효모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이들은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식품 관련 미생물의 특성과 이들에 대한 이해는 식품 산업의 발전과 안전한 식품 생산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식품 관련 미생물의 분류와 이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들을 살펴보고, 식품 가공 및 저장에서 미생물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향후 식품 산업에서 미생물 활용의 전망은 어떠한지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식품 관련 미생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식품 산업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식품 관련 미생물의 특성
2.1. 식품 관련 미생물의 분류

미생물에는 세균(bacteria), 고균(archaea), 곰팡이(fungi), 조류(algae), 원생동물(protozoa), 바이러스(virus) 등이 포함되며, 기생충(helminth)이 넓은 범위에서 포함되기도 한다. 이들은 모두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식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미생물에는 곰팡이, 효모, 세균 등이 있다. 곰팡이에는 Penicillium 속, Aspergillus 속, Rhizopus 속, Mucor 속 등이 있으며, 치즈 발효, 장류 및 주류 발효, 효소제품 제조에 관여한다. 효모에는 Saccharomyces 속, Schizosaccharomyces 속, Pichia 속, Candida 속, Torulopsis 속, Rhodotorula 속 등이 있으며, 발효식품 및 공업용 발효에 널리 사용된다. 세균에는 유산균, Bifidobacterium 속, Bacillus 속, Clostridium 속, Acetobacter 속, Corynebacterium 속, Escherichia 속 등이 있으며, 발효, 부패, 살균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방선균에는 Streptomyces 속이 있으며, 식품에 번식하면 냄새와 외관을 저하시키지만 항생제 생산 등 유용한 용도가 있다. 조류에는 클로렐라와 스피루리나가 있으며 단백질 및 영양성분이 풍부하다. 또한 박테리오파지는 발효성 세균의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식품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식품의 발효, 보존, 부패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2.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2.2.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수분 활성도가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수분 활성도가 1.0 근처에서 가장 적합한 생육 환경을 가지고 있다. 수분 활성도가 높고 충분한 양의 영양소가 용해되어 있을수록 미생물은 더욱 활발히 증식할 수 있다.

세균의 경우 수분 활성도의 감소에 더 민감한 편이며, 효모와 곰팡이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수분 활성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미생물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 발육의 최저 수분 활성도는 어떤 종류의 곰팡이에서 나타나는 0.61 정도이다. 따라서 수분 활성도가 0.61 이하인 식품에서는 미생물이 성장할 수 없고 화학적 부패만이 발생하게 된다.

수분 활성도가 낮아지면 미생물의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유도기의 길이가 증가하며, 정지기에 측정한 세포 수가 감소하고, 사멸기에 세포가 급격히 죽는 양상을 보인다. 성장에 필요한 최저 수분 활성도 근처에서 미생물은 가장 살아남기 어려운 반면, 매우 낮은 수분 활성도에서는 오히려 살아남는 것이 더 쉽다. 이는 물이 표면을 통해 흡착한 상태로 결합하고 있을 경우 성장은 제한되지만 생존은 가능하기 때문이다. 당류나 소금을 이용해 저장하는 식품에서 미생물은 삼투 현상을 겪게 되며, 삼투압 증가에 따른 세포 내부 수분 유출로 인해 비가역적 손상과 사멸이 발생한다.

수분 활성도는 미생물의 포자 발아, 독소 생성, 내열성 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기질의 수분 활성도를 낮추는 것은 미생물의 내열성을 증가시키지만, 극단적으로 낮은 수준의 수분 활성도는 오히려 내열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세균의 포자는 수분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 축산식품학의 개념 및 정의, 주요 연구 영역, 2022.05.18.
김영호, 「미생물학의 기초」, 라이프사이언스, 2022, p.2~3
김창한 외 3인, 「식품 미생물학」, 유한문화사, 2021, p.21~63
Benno Kunz 외 1인, 「발효소시지의 생산과 미생물적 특성」, 독일 본 대학, 식품가공학과, 2003, p.1~14
홍성욱, 「차세대 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제9권 제1호, p.11~19
정충일 외 2인, 「축산식품 미생물학」, 유한문화사, 2005, p.116~119
박현진 외 3인, 「대형마트 신선편의식품 소비자의 구매 후 행동에 따른 식품 내•외부 온도 및 미생물학적 오염 변화」, 『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vol35 No.5, 2020.
Kim, J.Y., Kwon, K.I., Ha, S.Y., Hong, C.H., Changes of contamination level of Listeria spp. during the processing environment in kimbaab restaurants. J. Food Hyg. Saf., 20, 232-236 (2005).
Doosan Corporation, (2020, May 8). Fresh-cut,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81217001599481.
kfreshcut, (2020, May 25). What is fresh convenience food?,Retrieved from http://www.kfreshcut.com/
Lin, C.-M., Fernando, S.Y., Wei, C.-I., Occurr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and E.coil O157:H7 in vegetable salads. J. Food Cont., 7, 13-140(199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