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외식업 시장 변화와 마케팅 전략
1.1. 외식업 트렌드 변화와 시사점
1.1.1. 외식시장 패턴의 변화
20세기 과거의 핵심소비계층이었던 베이비 붐 세대의 2세들이 10-20대의 성년이 되면서, 이들의 식생활 패턴이나 가치관이 기성세대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과거에는 가족단위로 일관된 식사보다는 개인별로 요구되는 식사가 증가하고, 개인의 감정이나 감성이 개입되어 음식을 선택하게 되는 개인식의 증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부모와 동행하지 않고 어린이 혼자만의 외식경향이 증가하고, 1일 3식의 식사패턴에서 1일 1식 혹은 1일 5식 등의 다양한 소비패턴을 추구하게 되었다. 특히 젊은 여성 및 남성의 비만이나 미용을 위한 다이어트성 편식이나 일상적인 식사형태는 아니지만 식사대용과 유사한 액체나 분말 등에 의해 만들어진 유사식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20세기 외식은 가족중심적인 단란, 집단중심의 연회나 회합, 기업의 접대, 근무 중의 점심 그리고 일상적으로 습관화된 외식 등의 목적에 의해 수요가 생성되어 왔으나, 최근 급격한 환경변화와 거품경제 붕괴 후 제반여건이 변화되면서 외식니즈가 새로운 양상을 보이게 된 것이다.
1.1.2. 외식기호와 소비행태의 변화
외식기호와 소비행태의 변화는 현대 외식산업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과제이자 핵심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외식산업의 주축이었던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와 함께 새로운 소비 세대인 베이비 부스터 세대와 에코 세대의 부상은 외식 시장의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우선 개인식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가족단위로 일관된 식사보다는 개인별로 요구되는 식사가 증가하고, 개인의 감정이나 감성이 개입되어 음식을 선택하게 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부모와 동행하지 않고 어린이 혼자만의 외식경향이 증가하고, 1일 3식의 식사패턴에서 1일 1식 혹은 1일 5식 등의 다양한 소비패턴을 추구하게 되었다. 특히 시간에 구애 없이 식사첫수를 줄여서 또는 식사횟수를 늘려서 소량식사 개념의 식생활이 증가하게 되었고, 독신미혼세대, 단신노인세대, 단신부임직장인들을 중심으로 단독식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편식 및 유사식 형태의 증가현상도 눈에 띈다. 젊은 여성 및 남성의 비만이나 미용을 위한 다이어트성 편식이나 일상적인 식사형태는 아니지만 식사대용과 유사한 액체나 분말 등에 의해 만들어진 유사식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감성과 편의성, 건강과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행태의 변화는 기존의 서구화된 패스트푸드 중심의 외식 문화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개성화, 차별화, 감성화 등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1.2. 외식업 마케팅 전략
1.2.1. 예비창업자 및 외식 운영자를 위한 마케팅 전략
예비창업자 및 외식 운영자를 위한 마케팅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업 인지 경로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소비자는 주로 간판이나 전단지 확인과 같은 수동적인 탐색을 통해 음식점을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핵심요소이다. 브랜드 보조상기와 브랜드 비보조상기를 활용한 브랜딩 전략이 필요하며, 간판이나 전단지 제작 시 이를 고려한 상품 이름, 슬로건, 심벌 등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터넷 블로그, SNS 등의 홍보방법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최신 ICT 기술을 이용한 판매촉진의 중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소비자 특성별 외식 소비 형태를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 음식점 방문 시 한식, 주문배달 시 치킨전문점, 테이크아웃 시 패스트푸드 등 서비스 형태별로 소비자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를 반영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