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종골의 골절 폐쇄성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종골 골절의 정의와 분류
1.3. 종골 골절의 역학
2. 종골 골절의 진단
2.1. 임상증상
2.2. 영상의학적 검사
2.3. 분류체계
3. 종골 골절의 치료
3.1. 보존적 치료
3.2. 수술적 치료
3.3. 수술의 적응증과 술식
4. 종골 골절의 합병증
4.1. 부정유합
4.2. 외상성 관절염
4.3. 신경학적 합병증
5. 간호중재
5.1. 수술 전 간호
5.2. 수술 후 간호
5.3. 재활 및 운동요법
6. 결론
6.1. 연구 요약
6.2. 종골 골절 환자의 예후와 전망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종골 골절의 폐쇄성 케이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종골 골절은 예후가 좋지 않은 골절로 정형외과의에게 아직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가 가장 힘든 골절 중의 하나이다. 현재 종골 골절은 족근골 골절 중 가장 흔하며 전체 골절 중 약 2% 정도 차지한다. 종골 골절 중 전위된 관절 내 골절은 60~75%를 차지하고, 종골 골절을 가진 환자의 10%는 척추 골절과 관련되어 있으며 26%는 다른 사지 손상과 관련되어 있고 약 90%는 작업 중인 젊은 남자에서 발생하며 이 손상의 대다수는 산업근로자들에게 발생한다. 따라서 종골 골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1.2. 종골 골절의 정의와 분류
종골은 발꿈치 뼈로,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종골 골절이라 한다. 종골 골절은 족근골 골절 중 가장 흔하며 전체 골절의 약 2%를 차지한다. 종골 골절 중 전위된 관절 내 골절은 60~75%를 차지하고, 종골 골절을 가진 환자의 10%는 척추 골절과 관련되어 있으며 26%는 다른 사지 손상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약 90%는 작업 중인 젊은 남자에서 발생하며 이 손상의 대다수는 산업근로자들에게 발생한다. 종골 골절은 크게 폐쇄골절과 개방골절로 분류되는데, 폐쇄골절은 피부의 창상이 없어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고, 개방골절은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것을 말한다. 이처럼 종골 골절은 매우 다양한 원인과 양상으로 나타나며, 정형외과의에게도 여전히 치료하기 어려운 골절 중 하나이다.
1.3. 종골 골절의 역학
종골 골절은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서의 추락이나 교통사고와 같은 고에너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거골이 종골을 누르는 작용으로 인해 종골의 분쇄골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골 골절 환자의 약 10%는 척추 골절과 관련되어 있으며, 26%는 다른 사지 손상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젊은 성인 남성, 특히 산업 현장 근로자들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이는 이들이 고위험 활동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골 골절은 전체 골절의 약 2%를 차지하며, 다른 골절에 비해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종골 골절 중 전위된 관절 내 골절이 전체의 60~7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종골 골절의 발생 특성은 이 질환의 예후가 좋지 않은 이유 중 하나이며, 정형외과 의사들에게도 여전히 효과적인 치료가 어려운 골절로 남아있다.
2. 종골 골절의 진단
2.1. 임상증상
골절의 임상적 증상은 다음과 같다. 급성 통증이 나타나며, 기능 상실로 인해 대부분의 골절에서 뼈의 지렉대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전위, 각형성과 골절편의 회전변형은 외관상 변형을 일으켜 손상받지 않은 사지와 비교하면 발견할 수 있다. 장골의 골절에서는 골절된 뼈가 압박을 받아 실제로 사지단축이 나타난다. 마찰음이라 불리는 삐걱거리는 감각을 느낄 수 있으며, 국소적인 부종과 피부의 변색이 외상과 피하출혈의 결과로 발생한다. 신경과 혈관의 손상이 있는 경우 별도의 증상이 나타난다.
2.2. 영상의학적 검사
종골 골절이 의심되는 환자의 처음 방사선학적 평가는 후족부의 측면상, 족부의 전후면상, 후족부의 Harris 축상, 족관절의 격자상이 포함된다. 이 조합은 후족부의 거의 모든 골절과 전위 또는 탈구를 보여준다. 또한 요추 손상과 종골 골절이 잘 동반되므로 요추에 대한 단순 사진도 기본적으로 찍는다. 특히 높은 곳에서 떨어졌을 때는 더욱 필요하다. CT촬영은 모든 관절 내 골절에서와 같이 종골 골절의 진단, 분류, 치료에서 필수적이다. 그밖에 특수 촬영은 외측 사선 촬영, 내측 사선 축면 촬영, 외측 사선 축면 촬영 등이 있다.
단순 방사선 검사는 후족부의 전후 및 측면 영상을 통해 골절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측면 영상을 통해 Bohler 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골절의 중증도와 예후 예측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전산화단층촬영(CT)은 관절 내 골절에서 골절 양상과 전위 정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치료 계획 수립에 필수적이다. CT를 통해 후관절면과 거골하 관절의 분쇄 정도, 전위 양상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재구성 영상을 통해 수술 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에 특수 촬영 ...
참고 자료
Suzanne C. Smeltzer(2012), 성인간호학 Volume 2, 군자출판사
김금순 외(2012), 성인 간호학2(제 7판), 서울: 수문사
MEDIC MEDIA(2009), 왜 무엇을 어떻게 5. <성인간호학> 뇌신경, 정형, 간, 파주: 의학서원
성미혜, 강정희(2010), 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서울: 정문각
정미영 외(2011), Mosby’진단검사간호 핸드북, 서울: 정담미디어
안은경(2009), 포널스‘s 포켓시리즈 임상간호, 서울: 포널스출판사
서울대학교병원 편(199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 서울대학교출반부
최정신 편역(1992),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성인질병을 중심으로, 서울:현문사
Sigma Theta Tau Lambda;Alpha Chapter At Large [공]편찬(2003), (최신)임상간호 매뉴얼 (7판),
서울 : 현문사
이은옥 외(1988),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서울:수문사
김정애, 이경혜(2011),진단적 검사와 간호, 파주: 수문사
김정애(2012), 성인간호학실습2 지침서, 서울:퍼시픽북스
김금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현문사
이은옥 외(2012),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최영희 외(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서울: 현문사
성인간호학Ⅰ(2020),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
신동은, 조덕연, 윤형구, 이진수, 이윤석 and 김형준. (2005). 경골 및 비골 간부 골절에 대해 경골만 교합성 골수내 금속정으로 고정시 비골의 불량 정복에 따른 족관절의 변화. 대한골절학회지, 18(1), 29-35.
한경진. 2010년 10월. 혈관 및 신경손상을 동반한 복합 사지 외상. 대한골절회지. 제 23권 제 1호
김바롬, 이준영, 차동혁. (2021). 개방성 종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대한족부관절학회지25(3), 133~140.
남대진, 이성현.(2022).종골 골절 및 탈구 치료의 최신 지견.대한골절학회지,35(2),74-82.
Kim Ba Rom, 이준영, Cha Donghyuk.(2021).개방성 종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25(3),133-140.
박홍기, 심재앙, 김한솔, 이병훈.(2019).전위성 관절 내 종골 골절 후 발생한 외상성 거골하 관절염에서거골하 관절유합술 후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한 유합 부위 분석.대한골절학회지,32(3),121-127.
https://radiopaedia.org/articles/weber-classification-of-ankle-fractures radiopaedia
https://www.msdmanuals.com MSD 매뉴얼 일반인용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서울아산병원
https://www.koa.or.kr/info/n/index_6_2_3.php 대한정형외과학회
https://www.mayoclinic.org/ MAYO CLINIC
https://www.kslm.org/main/main.html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health.kr/main.asp 약학정보원
성미혜 외(2020),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21,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21, 김금순 외
병태생리학, 계축문화사, 2020, 최명애 외
네이버 지식 백과
KMLE 의학 검진 엔진
KIMS 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