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의 정의와 특성
1.1. 다제내성균의 정의
다제내성균이란 다양한 계열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다제내성(mutidrug resistant)이라고 정의한다. 범약제내성(pandrug resistant)은 모든 계열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제내성균은 의료기관에서 주요한 원내감염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 다제내성균은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 때문에 치료가 어렵고 환자의 예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다제내성균의 확산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1.2. 다제내성균의 출현 배경
다제내성균의 출현 배경은 다음과 같다.
항생제의 과도한 사용과 오남용으로 인해 세균이 항생제의 효과에 저항하여 생존하거나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이는 세균이 자연선택 과정을 통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의료기관 내에서의 불완전한 손 위생과 감염관리로 인해 다제내성균이 전파될 수 있다. 특히 중환자실이나 면역저하자들이 많은 병동에서 다제내성균의 발생률이 높다. 더불어 의료 기기와 환경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한 오염도 다제내성균의 출현과 확산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의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면서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거나 기존 항생제를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3. 주요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의 특징
다제내성 녹농균(MRPA)은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을 나타내는 녹농균이다. 원내감염의 대표적인 원인균이 되고 있으며, 다른 그람음성 막대균으로부터 플라스미드를 통해 다른 항균제에 대한 내성유전자를 받아들여 다제내성 녹농균이 된다. 원내에서의 감염경로로서 의료종사자의 손이나 수도꼭지 등을 통한 경로가 있으며, 소변으로 배균하는 경우에 축뇨 봉지를 비롯한 그 주위가 높은 비율로 오염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은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인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이다. 접촉주의 대상이 되며, 폐렴, 혈류감염, 창상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감염경로는 사람 간 접촉과 오염된 표면 또는 환경에 노출되는 것이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은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장내세균속(대장균, 폐렴막대균, 클로아카장균 등)의 세균이다. 카바페넴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하는 효소의 종류에 따라 Class A, B, C, D로 분류된다. 주로 중환자실에 장기 입원하거나 면역체계가 저하된 중증 환자에게 감염되며, 일상생활에서 감염될 가능성은 적지만 치료가 어렵다.다제내성 녹농균(MRPA)과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은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을 갖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원내에서의 접촉감염 경로를 통해 전파되며, 특히 주사기나 도구의 오염, 의료진의 손 오염 등이 주요 전파경로이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은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며, 면역저하 환자나 중환자실 환자들에게서 주로 발생하지만 일반 지역사회에서의 발생도 보고되고 있다.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가 중요하며, 새로운 치료법 개발과 적절한 항생제 사용이 필요하다.
2.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의 종류 및 감염 특징
2.1. 다제내성 녹농균(MRPA)
녹농균(MRPA)은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을 나타내는 녹농균이다. 원내감염의 대표적인 원인균이 되고 있으며, 다른 그람음성 막대균으로부터 플라스미드(plasmid)를 통해 다른 항균제에 대한 내성유전자를 받아들여 다제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