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전격성 간염은 간질환의 병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서 간기능 손상으로 인한 최초 증상 발생 후 8주 이내에 급격히 간성뇌증으로 진행하거나, 황달이 생긴 지 2주 이내 간성뇌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전격성 간염은 드문 질환으로 그 원인은 다양하지만 바이러스 감염과 약물 또는 독소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전격성 간염은 단기간 내에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하여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신속하고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전격성 간염의 정의와 특징, 원인 및 발병 기전, 임상 증상, 진단 및 검사, 치료와 간호, 간호과정 적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전격성 간염의 정의와 특징
전격성 간염은 간질환의 병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서 간기능 손상으로 인한 최초 증상 발생 후 8주 이내에 급격히 간성뇌증으로 진행하는 경우이다. 또한 황달이 생긴지 2주 이내 간성뇌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전격성 간염이라고 한다. 황달이 생긴지 2~12주 내에 간성뇌증이 생기는 경우는 아전격성 간염으로 분류된다.
전격성 간염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흔히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경우와 약제 또는 독소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이며, A형 간염이나 E형 간염 바이러스, 기타 다른 바이러스의 간염도 원인이 되지만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는 경우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약물, 독소에 의한 전격성 간염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과다 복용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가장 특징적인 임상 증상은 간성뇌증이라고 불리는 신경학적인 증후군으로 흔히 경련과 섬망과 같은 증상을 보이며, 급격히 혼수로까지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하다. 간성뇌증과 함께 뇌부종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급격한 뇌압의 상승으로 인한 뇌간의 헤르니아를 유발하여 환자의 상태를 위협하게 된다. 또한 신장의 기능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급성 신부전이 생길 수 있으며, 감염과 패혈증의 위험성 증가, 간에서 합성되는 혈액응고 인자의 생산 감소로 인한 심한 혈액응고 장애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3. 원인 및 발병 기전
전격성 간염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바이러스 감염과 약물 또는 독소 중독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B형 간염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A형 간염이나 E형 간염 바이러스, 그 외 다른 바이러스 감염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다만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전격성 간염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아직 없다.
약물이나 독소에 의한 전격성 간염은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과다 섭취가 가장 흔한 원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약이나 민간요법에 사용되는 생약제제도 전격성 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전체 전격성 간염 환자의 20~40%에서는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전격성 간염은 기존 간질환의 병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서 나타나며, 간기능 손상으로 인한 최초 증상 발생 후 8주 이내에 급격히 간성뇌증으로 진행하거나, 황달이 생긴 지 2주 이내 간성뇌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황달이 생긴 지 2~12주 사이에 간성뇌증이 나타나는 경우는 아전격성 간염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전격성 간염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4. 임상 증상
전격성 간염의 가장 특징적인 임상 증상은 간성뇌증이다. 간성뇌증은 신경학적인 증후군으로 경련과 섬망과 같은 증상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