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내시경검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5.05.17
8,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내시경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내시경 검사의 개요
1.1. 내시경의 정의
1.2. 내시경의 종류
1.2.1. 위내시경
1.2.2. 대장내시경
1.2.3. 초음파 내시경
1.2.4. 캡슐내시경

2. 내시경 시술
2.1.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2.2. 내시경적 용종절제술
2.3. 역행성 췌담관조영술
2.4. 내시경적정맥류결찰술
2.5. 경피적내시경위조루술

3. 위내시경
3.1. 위내시경 검사의 정의
3.2. 위내시경 검사의 적응증
3.3. 위내시경 검사의 종류
3.4. 위내시경 검사의 주기
3.5. 위내시경 검사의 방법 및 소요시간
3.6. 위내시경 검사의 간호

4. 대장내시경
4.1. 대장내시경 검사의 정의
4.2. 대장내시경 검사의 적응증
4.3. 대장내시경 검사의 종류
4.4. 대장내시경 검사의 주기
4.5. 대장내시경 검사의 방법 및 소요시간
4.6. 대장내시경 검사의 간호

5. 초음파 내시경
5.1. 초음파 내시경의 정의
5.2. 초음파 내시경의 적응증
5.3. 초음파 내시경의 종류
5.4. 초음파 내시경의 검사 방법 및 소요시간
5.5. 초음파 내시경의 간호

6. 캡슐내시경
6.1. 캡슐내시경의 정의
6.2. 캡슐내시경의 적응증
6.3. 캡슐내시경의 간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내시경 검사의 개요
1.1. 내시경의 정의

내시경이란 의료기구로 내장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기구이다. 광학계를 함께 조작할 수 있는 관을 장기에 삽입하고 기체 또는 액체로 내강을 부풀게 하면서 조진이나 사진촬영을 한다. 시진 뿐 만 아니라 생검 겸자를 써서 직시하에 생검이나 내강을 세정하여 세포진찰도 한다. []


1.2. 내시경의 종류
1.2.1. 위내시경

위내시경은 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고 병변이 있을 때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위염, 위궤양, 위암 등을 진단할 수 있다. 특히 40세 이상 성인은 증상이 없더라도 1-2년 주기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위내시경 검사 전 국소 마취제를 목 안쪽에 스프레이하고 수면내시경의 경우 진정제를 투약한다. 왼쪽으로 누운 자세에서 내시경을 식도를 거쳐 위와 십이지장까지 삽입하며, 필요시 조직 검사를 시행한다. 전체 검사 과정은 약 5-10분 정도 소요된다.

위내시경 검사 전 금식이 필요하며, 혈압약 등 개인별 복용약물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수면내시경 시 호흡곤란, 심혈관계 합병증, 낙상 등이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검사 후 음식 섭취에 주의하고 출혈, 통증 등의 증상이 지속되면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위내시경은 상부 소화기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특히 조기 위암 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가 권장되며, 국소 마취와 수면유도 기법 등으로 검사에 대한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1.2.2. 대장내시경

대장내시경은 항문부터 직장, 결장, 맹장까지 장관 내부를 직접 관찰하는 검사이다. 증상이 없는 40대 이상을 대상으로 조기 발견을 위해 실시하는 선별검사로, 배변 후 설사, 혈변 검은 변, 통증, 작열감, 복통 등의 증상이 있거나 사전 검사에서 기형, 염증, 협착, 용종, 종양 등의 이상 소견시 조직 생검을 통한 진단과 폴립절제술, 출혈 부위제거와 지혈을 장내 이물질 제거 등의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대장 조영술 결과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확진과 조직 생검 등 정밀 검사를 위해 실시한다. 사용하는 대장 내시경은 검사할 결장의 범위와 대상자에 따라 길이가 다양하며 20가지 이상의 다른 종류가 상품화되어 있다. 수면 대장 내시경 검사는 검사에 대한 불안감과 고통을 최소화 할수 있고, 검사 도중 의료진이 지시하는 말이나 자극에 대해 어느 정도 협조가 가능하며, 검사에 관한 기억만 없는 검사 방법이다. 진정효과를 얻기 위한 약제는 사람마다 감수성이 ㅁ달라 많은 용량을 투여해도 원하는 진정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투여량이 과하면 호흡중추가 마비되어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대장 내시경에서 주의할 점은 대상자가 검사에 협조할 수 없을 때와 심한 직장출형이 있거나 장 준비가 부적절했을 때이고, 장천공, 급성 전격성 대장염, 게실염. 독성 거대결장, 허혈성 장 괴사 등이 의심될 때 그리고 중증의 심폐질환, 복부대동맥이나 장골동맥의 동맥류, 심한 출혈이나 형액응고 장애, 임신이 있다. 검사 과정과 간호 문제 해결 과정은 검사전에는 장 질환 병력, 임신 상태 및 혈액 검사상 응고장애가 있는지 자료를 수집한다. 그리고 검사 전날 저녁에는 가벼운 식사, 포도주스 같은 착색음료 섭취를 금하고 참외, 수박, 포도 같은 씨가 있는 과일, 섬유질이 포함된 음식은 피해야한다. 검사 전날 저녁 9시 이전에 식사를 마치고 검사가 끝날 때까지 음식과 수분의 섭취를 제한한다. 장관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검사 전날 저녁에 하제를 투여하여 장의 내용물을 씻어낸다. 내시경을 삽입할 때 급히 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드는데, 입을 벌리고 ㅊ천천히 깊게 숨을 쉬면 이런 느낌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사전에 호흡 방법을 연습하도록 교육한다. 내시경을 통해 검사물을 채취하며, 검사하는 동안 시야를 방해하는 물질은 흡인한다. 용종이나 조직을 절제했을 경우에는 검사 후 약간의 직장풀형이 있을 수 있으나 출혈이 2일 이상 지속되면 비정상이라는 것을 교육한다. 검사에 대해 질문하고 걱정이 있으면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불안 정도가 심하면 검사전 의사에게 보고한다. 검사 중 사용하는 기구에 따라 적절한 자세를 취한다. 검사할 탁자나 침대의 가장자리 밖에 엉덩이를 대고 좌측위로 하거나 원하는 자세로 대상자를 비스듬히 기울일 수 있도록 검사용 탁자 위에 슬흉위를 취해준다. 윤활제를 묻힌 항문경을 삽입하고 항문관을 시진한다. 항문경을 빼내고 나서 윤활제를 묻힌 직장경이나 유연한 결장경을 삽입한다. 시야를 방해하는 과도한 혈액, 점액 혹은 묽은 변이 있으면 흡인을 하고 솜으로 묻혀 제거한다. 검사가 끝나면 내시경을 완전히 빼내고 항문 주위에 남아있는 윤활제를 깨끗이 닦아준다. 검사 후 대상자가 앙와위로 누워 수분 동안 혹은 필요한 만큼 쉬게 한다. 그후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검사 전의 수치와 비교한다. 필요하면 항문 주위에 남아있는 윤활제를 종이수건이나 순한 비누와 따뜻한 물로 깨끗이 닦도록 대상자를 도와준다. 검사 후 2일 동안은 약간의 직장 출혈이나 변에 혈액이 보일 수 있다고 알려주고 복통이나 복부팽만 배변시 통증이 있으면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지도한다. 관련검사법으로는 CT 대장내시경과 대장 조영검사가 있다. CT 대장내시경은 장 정결에 영향을 받으며, 조직 검사는 불가능하고, 대장 조영검사는 전체 대장을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으로 역시 관장이 필요하며 조직 검사도 불가능하다.


1.2.3. 초음파 내시경

초음파 내시경은 내시경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조합한 진단 장치이다. 특수 내시경을 사용하여 내시경 끝부분에 장착된 고주파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소화관과 주변 장기의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방법이다.

초음파 내시경의 적응증은 우상복부 통증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종양, 낭종, 농양 또는 경화 같은 간병변을 진단하기 위해, 담도의 확장 또는 폐쇄여부와 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유방, 대장, 직장 또는 다른 복부 장기의 원발 병소로부터 간 전이를 확인하기 위해, 폐쇄성과 비폐쇄성 황달을 감별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간기능 검사치 및 간비대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급성 또는 만성 담낭염의 진단을 하기 위해, 담낭의 용종, 낭종 또는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 종양의 크기 감소를 알 수 있는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담낭 결석을 용해시키기 위해 담낭으로 카테터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시행한다.

초음파 내시경의 종류는 상부 내시경 초음파 검사와 하부 내시경 초음파 검사가 있다. 상부 내시경 초음파 검사는 내시경 초음파 기구를 경구로 삽입하여 식도, 위장 혹은 십이지장에 위치시킨 후 위장관 및 주위 장기에 대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 하부 내시경 초음파 검사는 항문을 통해 내시경 초음파를 삽입하여 하부 장관의 병변 주위를 관찰한다.

초음파 내시경의 검사 방법은 필요 시 검사 중 탈기수(기포를 제거한 물)를 소화관 내에 주입하여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하부 내시경 초음파의 경우, 검사 전 운동 억제 및 복통 경감을 위한 약물을 주사한다. 병변의 크기나 위치 및 성상에 따라 내시경 초음파 기기를 바꾸어 소화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검사 도중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요에 따라 초음파 유도하에 세침 흡인 검사(세포 검사) 또는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소요 시간은 30-40분으로 추정되나, 검사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초음파 내시경의 간호에 있어서는 검사 전 간 또는 담낭 질환의 병력, 종양이나 담도 폐쇄로 인한 치료 경험을 확인하고, 검사를 방해할 수 있는 분변이나 바륨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검사 전에 관장한다. 환자에게 검사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고 사전 동의서를 받는다. 검사 전날 자정 이후 금식 시킨다. 검사 중 비정상 검사 결과, 합병증 징후를 잘 관찰하며, 마취가 풀린 뒤 며칠간 목이 쉬거나 인후통을 호소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출혈, 발열, 복통, 연하곤란 및 호흡곤란이 나타나는지 관찰하며, 진정제의 부작용이 사라질 때까지 안전 대책을 수립하고 관찰한다.


1.2.4. 캡슐내시경

캡슐내시경은 신체...


참고 자료

동석호,경피내시경하 위루술,제 18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세미나 1998,P61-63
이상수,담낭질환의 진단에 있어 EUS의 역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2010 P319-321
김나리, 인하대학교병원 내시경실, 2009년, EMR, ESD 시술에서의 간호사 역할,P73-75
네이버.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5807&cid=40942&categoryId=32762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09&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서울아산병원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6
세브란스병원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treat_info/view.asp?con_no=19958&page=1&SearchField=title&SearchWord=%EB%82%B4%EC%8B%9C%EA%B2%BD&orderBy=open_date%20DESC&rnum=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