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건 식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식품시장의 변화와 비건 푸드 등장
1.2. 비건 푸드의 성장 배경과 의의
2. 채식주의의 이해
2.1. 채식주의의 개념과 분류
2.2. 채식주의의 동서양 전통과 확산
3. 비건 푸드와 대체육
3.1. 비건 푸드의 특징과 장점
3.2. 대체육 산업의 기술 혁신
3.3. 대체육의 환경 및 건강 측면 효과
4. 비건 푸드의 생산과 판매 전략
4.1. 비건 푸드의 생산 및 원료 선택
4.2. 온라인 유통과 친환경 배송
4.3. 타깃 고객 및 SNS 마케팅
5. 해외 시장 진출 전략
5.1. 미국 비건 시장 진출 방안
5.2. 해외 진출을 위한 조직 및 성과관리
6. 결론
6.1. 연구 결과 요약
6.2. 비건 푸드 산업의 전망과 과제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식품시장의 변화와 비건 푸드 등장
최근 몇 년간 채식주의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고 코로나19로 인해 육류의 공급이 불안정해지면서 비건 식단을 위한 대체육 수요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누적 고객 1,000만 명 이상을 달성한 식품 구매 사이트 '마켓컬리'에서는 비건 식품을 247개 판매하고 있으며, CJ의 한식 브랜드 '비비고'에서는 '플랜테이블'이라는 비건 전용 브랜드를 출시하여 한식의 비건화를 추진 중이다. 전 세계의 많은 사람이 다양한 이유로 채식을 실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채식주의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1.2. 비건 푸드의 성장 배경과 의의
최근 몇 년간 채식주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비건 푸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채식주의자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도 건강과 맛을 모두 잡은 비건 푸드를 많이 섭취하는 추세이다. 국내 채식 인구는 약 150만 명으로 추정되며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채식주의의 확산 배경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첫째, 육류 공급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육류 대체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위기로 육류 가격이 상승하면서 대체육 시장이 성장하게 된 것이다. 둘째, 윤리적 측면에서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공장식 축산업으로 인한 동물 복지 문제와 환경 오염 등의 이슈가 부각되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비건 푸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건강, 환경, 윤리적 측면에서의 이점 때문에 비건 푸드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도 이러한 소비자 니즈에 부응하고자 맛과 질감이 향상된 대체육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온라인 유통 및 SNS 마케팅을 활용하여 비건 푸드에 대한 접근성과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앞으로 비건 푸드는 단순한 채식 선호를 넘어 새로운 식문화를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2. 채식주의의 이해
2.1. 채식주의의 개념과 분류
채식주의는 육식을 피하고 식물성 식품을 위주로 섭취하는 것이다. 동양에서 채식주의는 인도를 중심으로 종교적 금기에 기초했고, 서양에서는 육류를 과다 섭취함에서 오는 건강 문제를 줄이기 위해 시작되었다. 또한 육류 공급을 위해 많은 동물이 공장형 사육장에서 살다 도축되는 등 윤리적인 문제를 지적하며 채식주의가 확산되었다.
채식주의자는 섭취하는 음식의 범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프루테리언, 비건, 락토 베지테리언, 오보 베지테리언, 락토오보 베지테리언, 페스코 베지테리언, 폴로 베지테리언, 플렉시테리언이 있다. 프루테리언은 열매와 과일만 섭취하는 극단적 채식주의자이며, 플렉시테리언은 때에 따라 육류를 겸하는 준 채식주의자이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이유로 채식을 하고 있으며, 점차 채식주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채식주의의 개념과 분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2.2. 채식주의의 동서양 전통과 확산
동양에서 채식주의는 인도를 중심으로 종교적 금기에 기초해왔다. 특히 힌두교와 불교에서는 생명체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채식을 실천해왔다.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인도 사회에서 엄격한 채식주의가 널리 퍼져 있다. 또한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불교의 영향으로 채식주의가 확산되었다.
반면, 서양에서 채식주의는 건강과 윤리적 문제 해결을 위해 시작되었다. 과도한 육류 섭취로 인한 건강상의 우려가 채식주의 확산의 계기가 되었고, 공장식 축산 과정에서의 동물 학대에 대한 반성으로 윤리적 채식주의도 발전해왔다. 1847년 설립된 세계 최초의 채식주의 협회인 영국 채식협회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채식이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과 윤리, 환경을 모두 고려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채식주의가...
참고 자료
김병수, 「‘고기인 듯 고기 아닌 고기 같은’ 대체육의 세계」, 『매일경제』, 2022.04.26.,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2/04/369347/, 2022.04.29.
『마켓컬리』, https://www.kurly.com/shop/goods/goods_search.php?searched=Y&log=1&skey=all&hid_pr_text=&hid_link_url=&edit=Y&sword=%BA%F1%B0%C7&x=0&y=0, 2022.04.29.
이영완, 「고기 대신 곤충∙배양육 먹으면 온실가스 80% 이상 줄어든다」, 『조선경제』, 2022.04.26.,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2/04/26/VBHKSO2BNRBVHHUSYSDS5Z4UOA/?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2022.04.29.
「채식주의자」,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3346&cid=43667&categoryId=43667, 2022.04.29.
차주경, 「[농업이 IT(잇)다] 김양희 HN노바텍 “고기만큼 맛있는 버섯 대체육, 세가지 비결은?”」, 『동아닷컴』, 2021.08.27.,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827/108794393/1, 2022.04.29.
『SSG몰』, https://www.ssg.com/search.ssg?target=all&query=%EB%B9%84%EA%B1%B4, 2022.04.29.
위더스 경영학개론 교안
Norah Park((2023-04-07), KOTRA - 미국인들의 비건 열풍, 프래나이즈 증가로 이어져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201475
손소희, 이규민. (2023). 비건식품에 대한 소비가치와 사회적 인식이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25(1), 27-39, 10.31667/jhts.2023.01.9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