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상담심리학 인간관과 심리적 증상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정신분석 상담관점 인간관과 심리적 원인
2.2. 행동주의 상담관점 인간관과 심리적 원인
2.3. 인간중심 상담관점 인간관과 심리적 원인
3. 결론(개인적 의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산업이 발달하고 그에 따른 가족기능의 변화로 인하여 우리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성장을 하게 된다. 가족이나 사회의 관계 약화, 사회환경적 요인 등의 구조적인 모순과 역기능 등이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게 되며 상대적 박탈감, 불안, 우울증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심리적인 증상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우리는 이러한 불안전한 사회환경의 구조 속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정신력이 약하고 의지가 약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치부하고 편견을 가지고 그들을 대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문제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듯이 이런 증세를 나타내기까지는 분명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생긴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심리적인 증상에 대하여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간중심의 이론을 비교·분석하여 원인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정신분석 상담관점 인간관과 심리적 원인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 발달의 원칙으로 정신적 결정론, 무의식의 중요성, 성적에너지(리비도)를 구분한다. 먼저 정신적 결정론의 경우 인간의 정신적 활동이 과거의 행동이나 일들에 의해 좌우된다고 본다. 또한 프로이트는 인간의 행동이 의식적 과정보다는 인식을 할 수 없는 무의식에 의해 동기가 일어난다고 여기며, 사람이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는 리비도가 사람의 행동과 사고의 원인이나 계기가 된다고 정의한다.
따라서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인간은 본능적이고 무의식적인 힘에 의해 좌우되는 존재로 볼 수 있다. 정신분석학 이론에 따르면 사람의 행위는 무의식적인 원인과 계기 또는 비합리적인 힘, 생물학적 그리고 생의 초기 5년 동안 주요한 심리성적발달에 의해 전제된 본능적 충동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이러한 본능의 경우 개별적인 존재와 세상의 모든 사람의 생존을 위한 목적에 이바지하게 된다. 따라서 성장과 발달 그리고 창조성을 달성할 때까지 찾...
참고 자료
칼 로저스 저/한승호, 한성렬 역 칼로저스의 카운슬링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윤순임, 현대상담 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2005
김동배, 권중돈, 인간 행동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01
이영희, 고 양자 외, 대상 관계 치료, 학지사, 2006
상담심리학, 강의 교안 참조 외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