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원인으로는 연령, 성별, 유전적인 소인,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영향이 있으며 관절의 선천성 이상, 관절감염, 관절의 비특이성 염증반응, 세균성 관절염, 내분비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나이가 들면서 신체 능력이 낮아져 연골세포의 치유능력 및 관절보호 기능이 떨어지고 외부충격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노화가 주된 원인은 아니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퇴행성 관절염의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며 관절 사용 후에 나타나는 관절강직과 쑤시는 듯한 통증이 특징이다.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과 신체검사, X-선 검사, 골스캔, CT, MRI 등 영상의학적 검사가 활용된다.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는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구분되며 보존적 요법으로 약물요법, 관절내 주사요법, 운동요법, 체중감량 등이 주로 이용되고 수술적 요법으로 관절경, 골절제술, 인공관절 치환술 등이 시행된다. 퇴행성 관절염은 완치가 어려우므로 증상 완화와 기능 향상을 위한 다각도의 접근법이 중요하다.
2. 퇴행성 관절염의 정의 및 원인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관절증이라고도 하며,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한다.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점진적으로 손상되거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발생하여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일차성 관절염과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관절염으로 분류된다.
정확한 원인은 불확실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로 인한 관절 변화이다. 나이가 들면서 신체 능력이 낮아져 연골세포의 치유능력 및 관절보호 기능이 떨어지고 외부충격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비만이나 과체중, 관절 연골에 손상을 주게 되는 외상, 운동부족으로 나타나는 근육약화, 유전적인 요인 등이 퇴행성 관절염의 발생과 관련되어 있다. 일차성 관절염의 경우 무릎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나 연골, 관절막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나서 통증과 기능장애, 변형을 유발한다. 이차성 관절염은 세균성 관절염이나 결핵성 관절염으로 인해 관절 연골이 파괴되거나 심한 충격이나 반복으로 발생하는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3. 퇴행성 관절염의 병태생리
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나 연골, 관절막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나면서 통증과 기능장애, 변형을 유발하게 된다. 고관절과 무릎관절처럼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연결부와 척추에 잘 발생하며,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 증식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져 점점 늘리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구조적, 기계적 특성 모두에 의미 있는 변화가 야기 된다.
관절이 침범되면 밝고 투명한 정상 연골이 불투명해지면서 노랗게 되고, 갈라지고 궤양이 생기면서 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