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리활동 평가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유아 안전사고 예방
2.1. 가정 내 영유아 안전 위협 요인
2.2.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정비 및 관리
2.3. 영유아 안전교육의 중요성
3. 유아 식생활 교육
3.1. 연령별 식생활 교육 활동
3.2. 효과적인 식사 내용 평가 방법
3.3. 영유아 식생활 교육의 제언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유아는 부모나 보육시설 교사의 조금의 방심으로 인해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된다. 우리나라의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률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특히 영유아 안전사고는 전체 어린이 안전사고의 69%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 가정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보호자의 순간적인 방심이나 부주의로 인해 영유아가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영유아의 특성상 입으로 집어 넣는 경향이 강하여 가정 내에 흩어져 있는 작은 생활용품들을 삼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영유아 보호자는 안전사고의 유형과 예방대책을 충분히 인지하고 실행해야 한다. 또한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식생활 교육이 중요한데, 연령별로 적절한 식생활 교육 활동과 효과적인 식사 내용 평가 방법, 그리고 영유아 식생활 교육의 제언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영유아 안전사고 예방
2.1. 가정 내 영유아 안전 위협 요인
가정 내에는 영유아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인들이 존재한다. 칼과 가위와 같은 날카로운 물건들은 아동의 손길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두어서는 안 되며, 보이지 않는 깊숙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기를 연결하는 콘센트에 젓가락 등을 넣는 행위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언제나 콘센트 접지를 덮어두어야 한다. 화장실이나 욕실과 같은 공간의 미끄러운 바닥 역시 아동의 낙상 사고 위험이 크므로 미끄럼 방지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한편 가구의 모서리가 날카로운 경우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고무 등의 부속품을 설치해야 하며, 무거운 비품이 담겨있는 선반 등은 아동의 접근을 차단하여 추락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이처럼 가정 내 곳곳에 산재해 있는 위험 요인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영유아의 안전을 지키는 데 필수적이다. [1,2]
2.2.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정비 및 관리
영유아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가정 내에서의 지속적인 점검과 정비가 필요하다. 아동이 접근할 수 없는 안전한 장소에 응급조치를 위한 비상약품 및 간이 의료기구 등이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 오침 및 급식을 위한 침구·식탁 배치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모든 ...
참고 자료
공용, 세법. 세법에서 말하는 신의성실의 원칙, 2015.
곽은복(2008). 아동안전관리. 서울: 학지사.
구자숙(2009), 유아안전교육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상희(2002), 유아안전교육, 삼광출판사
이기숙, 강영희, 정미라, 배소연, 박희숙(1997).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서울: 양서원
서채문(1994). 인간과 건강. 서울: 태근문화사.
송헌종(2006). 아동안전사고의 현황 및 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pp.89~98
한혜경(1997. 아동안전 실태와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