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육사상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퇴계 이황의 생애
2.2. 퇴계 이황의 학문
2.3.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교육은 인간의 발달과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역사적으로 각 시대와 사회에 맞는 교육사상가들이 등장하였으며, 그들의 사상과 실천은 교육 발전의 토대가 되어왔다. 특히 조선시대의 학문은 인문학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그 중에서도 성리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퇴계 이황은 조선 후기 성리학의 대표적인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생애와 학문, 그리고 교육사상은 당시 조선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한국 유학 사상의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따라서 퇴계 이황의 삶과 사상을 살펴보는 것은 조선시대 교육사상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퇴계 이황의 생애
퇴계 이황은 1501년 경상도 예안현 온계리에서 좌찬성인 이식의 7남 1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생후 7개월 만에 아버지가 돌아가셨으며, 현부인이었던 생모 박 씨의 엄격한 가르침을 받으며 총명한 자질을 키워갔다. 12세부터 작은 아버지인 이우로부터 논어를 배웠고, 14세경부터 혼자 독서하는 것을 좋아했는데, 특히 도연명의 시를 사랑하고 그 사람의 됨됨이를 흠모하기도 하였다. 20세를 전후하여 주역공부에 몰두한 나머지 건강을 헤쳐서 그 뒤부터 평생 병치레를 하며 살았다고 할 수 있다. 27세에 향시에서 진사시와 생원시 초시에 합격하였으며, 어머니의 소원에 따라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서 성균관에 들어가 다음해에 진사 회시에 급제하기도 했다. 그 후 34세에 문과에 급제하면서 승문원의 부정자가 되어 관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37세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고 향리에서 3년간 복상을 한 후에, 중종말년 무렵부터 관계를 떠나 ...
참고 자료
조화태/박종배, 교육사, 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도산서원 홈페이지, http://www.dosanseowon.com/
영남퇴계학연구원, 국제퇴계학회 http://www.toegye.ne.kr
정약용, 『정선 목민심서』, 창비, 2005
우승미, 『실학의 꽃 정약용』, 이룸, 2007
안길정, 『정약용』, 아이세움,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