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실습 참관수업 8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2.1.1. 소개
2.1.2. 교육 목적과 목표
2.1.3. 교육과정의 특징
2.1.4. 졸업 후 진로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000년대 초 처음으로 해외 여행을 해보았는데, 그 당시만 해도 외국에서 아시아인이란 중국인 아니면 일본인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의 위상이 상당히 달라졌다. 외국인들이 한국의 문화를 보고 듣고, 한국어를 배우기 위하여 공부를 하며 한국으로 여행을 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외국인의 한국인을 배우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진 이 시점에 한류의 발전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한국어 교육 발전이며 한국어의 세계화라고 할 수 있다. 연세대 어학당이 1959년 개설되면서 외국인에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시작되었으나 당시 한국어 교육은 교육과정이나 교재, 교사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피동적으로 시작되었다. 한국어교육의 역사가 길지 않은 가운데 2000년에 들어서며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이 확대되었으며, 현재는 순수하게 학문으로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한국 문화를 사랑해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한국어교육 역시 다양하게 증가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 한국어 교육기관은 여러 곳이 있으나 이 중에서도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살펴보며 한국어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장단점을 알아보며 졸업 후 진로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2.1.1. 소개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는 1...
참고 자료
강현화, 이미혜, 『한국어교육론』, 한국방통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배두본, 『외국어 교육과정론』, 한국문화사, 2000.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교육기관 자료
https://kteacher.korean.go.kr/noti6/noti61/_/D_list.do
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http://korean.kh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