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어습득론: 모어가 제2언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학습자의 모어와 제2언어 습득의 관계
1.2. 모어 전이 이론의 발달과 중요성
1.3.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본론
2.1. 모어의 긍정적 전이
2.1.1. 문법 및 어휘의 유사성
2.1.2. 음운론적 유사성
2.2. 모어의 부정적 전이
2.2.1. 발음의 차이와 오류
2.2.2. 문법 구조의 차이로 인한 오류
2.2.3. 어휘의 차이로 인한 오류
2.3. 언어권별 학습자 발음 오류 사례
2.3.1. 중국어권 학습자
2.3.2. 영어권 학습자
2.3.3. 일본어권 학습자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모어 전이를 고려한 제2언어 교육의 필요성
3.3.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학습자의 모어와 제2언어 습득의 관계
모국어와 제2언어의 습득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습자가 구사하고 있는 모국어는 제2언어 학습 과정에 있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모국어 지식은 제2언어 습득 시 활용될 수 있다. 모국어와 제2언어 간 발음, 문법, 어휘의 유사성은 제2언어 학습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일본어와 한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이 같고 조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므로, 일본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모국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모국어의 긍정적인 전이 현상이 나타난다.
반면 모국어와 제2언어 간 차이는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발음, 문법 구조, 어휘 체계의 차이로 인해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어 화자가 한국어의 경음, 평음, 격음을 구분하여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영어 화자가 한국어의 조사 체계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의 사례가 있다. 이처럼 모국어의 부정적인 전이 현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학습자의 모어는 제2언어 학습에 있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2언어 교육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모어 특성을 고려하고, 모국어의 긍정적인 전이를 활용하며 부정적인 전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1.2. 모어 전이 이론의 발달과 중요성
모어 전이 이론의 발달과 중요성이다. 모어 전이 이론은 1960년대 구조주의 언어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을 배경으로 발달하였다. 이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의 모어와 학습하는 외국어의 구조 및 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즉, 모어와 외국어 사이에 공통점이 많을수록 학습이 용이하고, 차이가 많을수록 학습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오류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어 외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어 전이 이론은 외국어 습득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1.3.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외국인 학습자의 모국어가 한국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은 외국어 습득론의 주요 관심사이다. 대조 분석 이론에 따르면 모국어와 제2언어 간 유사점과 차이점에 따라 학습이 용이하거나 어려워지며, 이는 학습자의 발음, 문법, 어휘에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국어의 부정적 전이로 인한 오류를 예상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 간 대조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언어 습득 과정을 이해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론
2.1. 모어의 긍정적 전이
2.1.1. 문법 및 어휘의 유사성
일본어와 한국어는 문장의 구성 성분인 주어, 목적어, 동사의 순서가 일치하여 SOV로 구성되어 있고, 조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통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일본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를 이해하고 구성하는 데 있어서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보다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해준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장 구조는 주어+목적어+서술어로 나는(S)+사과를(O)+좋아한다(V)를 일본어로 하면 私は(S) リンゴが(O) 好きです(V)로 구조가 비슷하다. 또한 일본어와 한국어는 한자를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어서 비슷한 어휘들을 사용하는 등 한국어 학습에 모국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가족 家族이 일본어로도 家族 かぞく이며 발음도 유사하므로 어휘 학습이 비교적 쉽다. 이러한 통사적, 어휘적 유사점은 일본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2.1.2. 음운론적 유사성
일본어와 한국어는 음운론적 유사성이 크다.
일본어의 자음 체계와 한국어의 자음 체계는 많은 유사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양 언어 모두 평음, 유기...
참고 자료
김신영(2017), L2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산출을 통해 본 관계절 사용 양상, 경희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 대학원
김정윤 (2007),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소영&강현화 (2018), 언어관과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이정희 (2008),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진호 (2005),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비비언 쿡, 언어학과 제2언어 습득, 경문사, 2016.
신성철,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 오류의 이해, 소통, 2017.
유준연,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교재 내용 분석 및 연습 자료 구상,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 2022.
신예주, 발음 진단 결과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계명대학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