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말임씨를 부탁해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1.1. 영화- '말임씨를 부탁해'
1.2. 간호사정
1.3. 간호과정
2. 자궁외임신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검사
2.6. 치료
2.7. 경과·합병증
2.8. 수술 간호
3. 정신간호학 실습
3.1. 간호사정
3.2.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1.1. 영화- '말임씨를 부탁해'
85세 대구의 정말임 여사는 자식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내 돈 내 산을 할 수 있는 나 홀로의 삶을 원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녀의 목표는 외아들인 종욱의 방문으로 무산되고 말았다. 그녀는 자식이 온다는 말에 오지 말라 하였지만 마음은 그렇지 않았는지 음식준비, 빨래 등을 하고 있었다. 옥상 계단에서 떨어뜨린 빨랫거리를 잡으려는 순간 그만 중심을 잃고 왼쪽팔이 골절되고 말았다. 이 사고 이후 서울에 사는 종욱은 혼자 계신 어머니를 위해 요양보호사인 미선을 들이도록 하였다. 보호사가 없는 시간이 걱정되었는지 CCTV까지 들이면서 정말임과 아들 사이의 갈등이 점점 고조되기 시작하였다. 말임은 요양보호사가 무슨 꿍꿍이가 있는 것 같다며 그녀를 내쫓으려고 하거나 아들의 마음과는 다르게 모진 말을 계속해서 혼자 충분히 지낼 수 있다고 아들을 다그친다. 그럼에도 혼자 둘 수 없었던 종욱은 아내의 딸 학원 적금비를 깨면서까지 요양 보호사비를 쓰면서 말임의 삶을 간섭한다. 그로 인해 종욱은 아내를 계속 설득하기 시작하고 아내는 경제적인 상황을 참으면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간 폭탄 같은 상황이 펼쳐지게 된다. 말임은 아들에게 혼자 잘 지낼 수 있다고 말한 것과는 달리 사기를 당하거나, 아들과 요양보호사와 지속적인 마찰을 보여주게 된다.
1.2. 간호사정
노인 정0은 85세의 여성으로, 현재 독거생활을 하고 있다. 자녀인 아들이 있지만 출가하여 따로 살고 있다. 정0은 최근 계단에서 내려오다 넘어져 왼쪽 팔이 골절되었고, 이로 인해 섬망 증세인 환시와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났다. 또한 노인성 치매가 진단되었다.
정0의 아들은 요양보호사를 고용하여 일주일에 다섯 번 방문하여 돌봐주고 있지만, 정0은 요양보호사에게 적대감을 보이며 자신의 물건을 도둑맞는다고 말한다. 정0은 거동이 가능하지만 팔 골절로 인해 앉았다 일어나는 것이 힘들고, 새벽에 화장실을 가지 못한다. 경제활동으로 미용실에서 월세를 받고 있다.
가족사정 도구를 통해 정0의 가족력과 생활력을 살펴본 결과, 정0은 6.25 전쟁 이후 부산으로 피난을 와 남편을 만나 결혼하고 쌀집을 운영했다. 아들을 두었지만 자녀 출산에 대한 갈등과 함께 남편과의 사별을 경험했다. 최근에는 계단에서 넘어져 팔이 골절되었고, 노인성 치매 진단을 받았다.
정0의 주관적, 객관적 자료 수집 결과, 골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인지기능 변화와 관련된 지남력 장애, 정서적 지지 부족과 관련된 우울 등의 문제가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간호사는 정0의 건강문제와 간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1.3. 간호과정
정실임 할머니는 낙상으로 인한 골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인지기능변화로 인한 지남력장애, 가족과의 갈등으로 인한 정서적 지지 부족과 관련된 우울 등의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다.
낙상 위험성 간호계획에서는 낙상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낙상 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낙상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적절한 조명을 제공하며, 높은 침대 대신 바닥에 매트리스를 깔고 계단 이용 시 손잡이를 잡고 천천히 내려가도록 교육한다. 또한 양말 착용을 제한하고 가능한 맨발로 생활하도록 안내한다.
지남력장애 간호계획에서는 날짜,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지남력을 유지하도록 매일 달력 보기와 일기 쓰기를 하고, K-...
참고 자료
https://www.ciss.go.kr/www/selectBbsNttView.do?bbsNo=84&nttNo=29761&key=187
김채영, 2017, ‘고령자 추락낙상사고 위해사례 동향분석’,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http://contents2.kocw.or.kr/KOCW/document/2017/dongguk/kimInhong211/12.pdf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신경인지장애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99851922829574.pdf
노인치매환자의 간호관리: 한라전문대학 이경희 교수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4/shinhan/yangseunghee/6.pdf
신한대학교: 정신간호학
이은미, 김유정 외 8명,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19
여성건강간호학1,2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2010.2.15발행. 수문사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 성미혜 외. 2008.2.29발행. 수문사
www.naver.com/ www.google.co.kr/
www.kimsonline.co.kr/ (약품)
김선아 외(2020), 정신간호총론(8판), 수문사
MEG GULANICK 외(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
https://search.snuh.org/search/search.jsp,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http://nd-jungdok.or.kr/, 인천 남동구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http://www.cnmh.go.kr/cnmh/medical/medical_01.jsp?menu_cd=M_05_03, 보건복지부 국립춘천병원
http://www.alanonkorea.or.kr/, 한국알아넌가족연합회
http://www.savealcoholics.org/, 우리중독상담센터
https://www.bukgu.ulsan.kr/search/front/Search.jsp, 울산광역시 북구청, 올바른 의사소통 기법(4.23~24.시민위원교육).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