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환자안전은 의료기관이 마땅히 추구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가치이다. 국제환자안전목표 중 안전한 수술·시술 보장 영역은 의료서비스의 핵심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이 영역에서는 환자 확인, 의사소통, 수술·시술 과정 안전, 낙상 예방, 손위생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직접적인 안전보장 활동과 더불어 질 향상, 감염관리, 인적자원관리, 시설 및 환경관리, 의료정보/의무기록관리 등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성과관리를 통해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해나가야 한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국제환자안전목표 중 안전한 수술·시술 보장과 관련된 의료기관의 노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국제환자안전목표 중 안전한 수술·시술 보장
2.1. 환자안전 확인
병원에서는 환자안전 확인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첫째, 정확한 환자 확인을 위해 환자 신원을 확인하고, 병원 내에서 환자와 관련된 모든 행위를 할 때마다 환자 확인을 거쳐야 한다. 둘째, 의료진 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정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의료진은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공유하며, 모든 의사소통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수술 및 시술 전 환자안전을 위한 확인 절차를 거친다. 수술이나 시술을 하기 전에 환자, 술기, 부위 등을 정확하게 확인하여 오류를 방지한다. 넷째, 환자안전을 위해 낙상 예방활동을 수행한다. 환자의 낙상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낙상 예방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한다. 다섯째,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철저한 손위생을 수행한다. 의료진은 진료 및 간호 행위를 하기 전후로 올바른 손위생을 실천한다. 이와 같은 환자안전 확인 활동을 통해 병원은 환자안전을 보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2. 의사소통 체계
의료진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정확하게 의사소통한다. 의사소통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환자안전을 위해 중요하다. 의료진 간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절차와 규정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실제로 준수하고 있다. 특히 입원환자의 담당 의료진이 변경되는 경우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여 환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또한 퇴원 및 전원 과정에서도 환자의 진료정보가 연속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의료기관은 환자안전을 위해 의사소통 체계를 갖추고 이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2.3. 수술·시술 과정의 안전 확보
의료기관은 환자 안전을 위해 수술 및 시술 과정에서 다양한 조치를 취한다. 첫째, 환자평가 결과에 따라 수술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수행한다. 수술 전 환자의 상태와 요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술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수술의 적절성과 안전성을 확보한다. 둘째, 수술 시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을 수립하고 이를 준수한다. 의료기관은 수술 전후 확인 사항, 수술 중 감염관리, 수술 기구 관리 등 세부적인 지침을 마련하고 실제 수술 과정에서 이를 철저히 이행한다. 셋째, 환자평가 결과에 따라 시술 계획을 수립하고, 시술 시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을 수립하여 준수한다. 시술 전 환자의 상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계획을 수립하며, 시술 중 감염관리와 환자 모니터링 등 세부 지침을 마련하여 시술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이처럼 의료기관은 수술 및 시술 과정에서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관련 규정을 체계적으로 수립 및 이행함으로써 안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