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간호학 난소암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상자 간략소개
3.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고찰
4.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과정
4.1. 간호사정 도구
4.2. 신체검진
4.3. 임상검사결과 보고
4.4. 진단 검사
4.5. 사용약물 보고
4.6. 간호과정
4.7. 퇴원 개요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난소암은 여성 생식과 호르몬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난소암은 암이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크게 상피세포암, 배세포종양 그리고 성삭 기질 종양으로 구분된다. 난소암의 90% 이상이 난소 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상피성 난소암이며, 실제 우리 주위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암은 이 상피성 난소암이다. 난소암은 한국에서 자궁경부암에 이어 두 번째로 발생률이 높은 여성에게 발병하는 암으로, 미국의 경우 매년 약 25,580명의 환자가 새롭게 난소암으로 진단되고 16,210명의 환자가 난소암으로 인해 사망한다. 이렇게 난소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아직 적절한 선별검사 방법이 없으며 상당히 질병이 진전될 때까지 증상이 발현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2. 대상자 간략소개
OOO은 67세의 미혼 여성이다. 그녀는 기독교 신자이며 종교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가족은 부모와 형제들이며 교대로 상주하며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 과거력상 Ovarian cancer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앓고 있었으며 2016년 7월 8일 왼쪽 난소종양절제술(개복술)을 시행받았다. 이번에는 ASCITIC FLUID ASPIRATION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상태이다. 현재 건강상태는 체중이 입원 전 44kg에서 42kg으로 감소하였으며 지속적인 항암치료로 인해 피로감과 탈모 증상이 있다. 그러나 활력징후와 검사결과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대상자의 가족은 그녀의 건강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3.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고찰
난소암은 여성 생식과 호르몬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난소암의 90% 이상은 난소 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상피성 난소암이며, 실제 우리 주위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암은 이 상피성 난소암이다.
상피세포암은 세포형태에 따라 장액성 난소암, 점액성 난소암, 자궁내막양 난소암, 투명세포암 및 드물게 악성 브레너 종양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중 경계성 암은 세포 및 조직 형태의 전부는 아니고 일부가 악성 양상을 보이고 있고 기저막 이하부의 침윤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장액성 난소암은 육안적으로 난소표면의 유두돌기 증식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급속한 증식으로 조직괴사와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점액성 난소암은 양성의 경우 육안적 소견으로 표면이 매끈하며 내부는 투명하고 끈끈한 점액성 물질로 차 있다. 자궁내막양 난소암은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과 유사하며 10~20%에서 자궁내막증이 관찰된다. 투명 세포암은 매우 희귀한 종양으로 50~60대가 대부분이며, 자궁내막증과 자궁내막암이 함께 관찰되기도 한다. 미분화세포암은 상피세포가 분화능력보다 증식능력이 강할 때 발생하는 난소 상피세포암이다.
난소상피암은 암이 상당히 진행하기까지 특별한 증...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백과사전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약학정보원
송경애 외 (2017). 기본 간호학 Ⅰ, Ⅱ. 수문사
박영주 외 (2020). 여성건강간호학 Ⅱ. 현문사
박영주 외 (2020).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박효정 (2017). 간호과정. 현문사
세브란스 병원, https://sev.iseverance.com/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백과사전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Main.do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2014).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2014).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1)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