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국가7권 인식
일연(一然)의 삼국유사는 고려 후기 몽골의 침략과 굴복 속에서 민족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시대적 요구 하에 저술되었다. 일연은 기존 사서들에 누락된 신화, 설화, 향가를 보완하여 민족의 자주성과 문화전통의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는 단군 고조선을 삼국의 공통 시조로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민족사의 시초를 확립하고, 고대사를 자주적으로 이해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일연은 사료를 인용하면서도 자신의 견해를 명확히 구분하여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토대로 삼국사의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민족의 정신적 측면의 강조를 통해 위기 극복을 추구하는 정신사관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삼국유사는 민족사의 시초 확립과 고대사에 대한 자주적 이해, 불교와 타 사상의 종합적 수용을 통해 다양한 의의를 지닌다. 정정도전의 삼봉집은 시문과 악장, 경세서, 사상서, 병서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들을 포함하고 있다. 삼봉집에서 정정도전은 성리학에 입각한 국가 체제의 수립을 모색하였는데, 특히 재상 중심의 중앙집권체제와 관료감찰 및 수령제도 등을 통한 지방통치의 강화를 주장하였다. 또한 불교 비판을 통한 성리학의 우월성 강조, 왕조 개창과 요동 정벌을 위한 병제 정비 등 다양한 정치, 사상, 군사 분야에 걸친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삼봉집은 15세기 조선 국가체제 정비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평가된다.
2. 변증술 견해
플라톤의 변증술은 이상국가와 철인 통치자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다. 플라톤은 국가의 정의와 이상적인 국가 건설을 위해 철학자들이 통치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철인 통치자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시하였는데, 음악과 체육 교육에서부터 시작하여 수학, 변증술 등의 교과를 통해 지성을 계발하고자 하였다. 이는 철학자가 이데아의 세계를 인식하고 국가운영의 전문성을 갖추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변증술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는 철학의 성격을 단순한 이론이 아닌 실천적 지혜의 추구로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역시 개인의 인격과 실천적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성 함양을 통한 시민의 선한 품성 형성이 교육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또한 그는 교육이 개인의 자아 실현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중세의 변증술과 스콜라 철학에서는 교육이 신학적 토대 위에서 이뤄졌다. 대표적인 철학자인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는 교육이 신에 대한 헌신과 기독교 교리에 기반해야 한다고 보았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철학과 학문이 종교적 영역의 기초교육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고,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에 의한 진정한 교육만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중세 교육에서는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하였고, 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신에 대한 봉사와 구원에 두었다.
1.1. 삼국유사(一然)의 역사 서술 특징
1.1.1. 시대 배경과 저술 동기
일연(一然, 1206∼1289)은 고려후기 몽골(元)의 침략?굴복?간섭기에 살았다. 이 시기 민족의 위기를 극복하고 일반 민중의 구원을 위해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기존 史書(김부식의 삼국사기, 각훈의 해동고승전)에 누락된 신화?설화?향가 등의 내용을 보완함으로써 민족의 자주성과 문화전통의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단군의 고조선을 삼국의 공통 시조로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정신사적 측면에서 민족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1.1.2. 역사 인식
일연은 고구려의 건국설화와 관련된 단군조선의 역사를 새로이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는 고조선으로부터 삼한을 거쳐 삼국으로 이어지는 민족사의 시초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민족의 자주성과 문화전통의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일연은 신이한 설화를 역사의 흔적으로 수용하여 고대사를 자주적으로 이해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일연의 역사인식은 민족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정신사관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연은 인용된 사료와 자신의 견해를 구분하여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민족의 역사와 문화 전통에 대한 자긍심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1.1.3. 역사 서술 태도
일연은 인용된 사료와 자신의 견해를 구분하여 객관적으로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불교, 유가, 도가, 역사, 시 등 다양한 분야에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삼국유사에서 역사적 사실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민족의 자주성과 문화전통의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민족사의 시초를 확립하고 고대사를 자주적으로 이해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역사서술 태도로 인해 삼국유사는 사학사적, 불교사적, 문학사적으로 큰 의의를 지니게 되었다.
1.1.4. 구성 및 내용
삼국유사는 5권 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은 왕력과 기이(紀異)로 이루어져 있는데, 신라시조 혁거세부터 고려태조의 통일에 이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