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영유아 장애유형 교수방법 및 교육내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폐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교육
2.1. 자폐범주성 장애의 정의 및 특성
2.2. 자폐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교수방법 및 교육내용
2.2.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2.2.2. 교육적 접근
2.2.3. 조기 발견과 조기 개입의 중요성
2.2.4. 자폐성 장애 아동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선행 조건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한민국의 모든 아이들이 차별 없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은 국가적인 책무이다. 헌법 제 31조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모든 국민'에 해당하는 장애 영유아들에게 교육은 이후의 삶과 직결되는 생존 과정이다. 게다가 장애아를 둔 가정은 장애의 경감과 완화를 위해 드는 치료 비용 및 부담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적극적인 평등조치에 의해 만 0-2세의 장애 영아는 '무상교육' 대상자로 또한 만 3-5세의 장애 유아는 '의무교육' 대상자로 법이 정하고 있다. 하지만 그 사실을 아는 국민들은 여전히 많지 않다. '의무교육'이라고 하면 학교가 떠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의무교육대상자인 장애 유아들의 경우 학교나 유치원이 아닌, 다른 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경우가 다반사다. 바로 보건복지부 소속기관의 '어린이집'이다. 유치원보다 장애아 전문 통합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들은 약 2배 이상 많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만들어진 2008년에도 그랬고, 14년이 지난 2022년도 상황은 별로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어린이집에 다니는 1만 1165명의 장애 영유아들에게 차별 없이 동등한 교육이 주어지고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2. 자폐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교육
2.1. 자폐범주성 장애의 정의 및 특성
자폐범주성 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며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인 성취와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의미한다. 자폐범주성...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용어대백과사전, 국제장애분류 1판(1980)
http://www.welfare24.net/ab-welfare_dic_v-12002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 장애학습아동의 이해와 교육, 2003, 학지사
위영희 외 4/2021/영유아교수방법론/창지사
김운삼 외 4/2018/영유아교수방법론/양성원